한나라행 두고 “미루자” “당 해산해야” 갈등
친박연대가 서청원 대표의 징역형 선고 뒤 내홍 조짐을 보이고 있다.
애초 서 대표를 포함한 친박연대 소속 8명의 비례대표 의원들은 한나라당 입당시기를 둘러싼 논쟁 끝에 서 대표의 1심 판결 뒤 입당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하지만 지난 14일 1심 판결에서 서 대표가 공천과 관련해 32억여원을 받은 혐의로 징역 1년6월을 선고받자 잠복한 갈등이 삐져나왔다. 의원직 상실 위기에 처한 서 대표 쪽이 최종심인 3심 재판까지 마무리 한 뒤 당 진로를 결정하기로 알려지면서 입당시기를 둘러싼 의원 개개인들의 이해가 충돌한 것이다. 선거법상 비례대표 의원은 소속 정당이 해산되거나 출당 조처를 하지 않으면 다른 당에 입당할 수 없다.
서 대표와 가까운 의원들이나 원외 위원장들은 한나라당 입당을 미루자는 주장이다. 노철래 원내대표는 “시기적으로 지금 한나라당에 입당할 수는 없다”며 “법적 대응을 위해 재판이 끝날 때까지는 상당기간 당을 존속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한 원외 위원장은 “정치 탄압을 하는 한나라당에 들어간다는 것은 스스로를 두번 죽이는 것”이라며 친박연대 유지를 주장했다.
하지만, 조기에 한나라당 입당을 원하는 일부 의원들은 서 대표가 개인의 정치적 활로를 위해 비례대표들을 볼모로 삼고 있다고 비판했다. 한 의원은 “서 대표가 이제 당을 해산하는 등의 조처를 취해 비례대표들이 한나라당에 입당할 수 있게 길을 터줘야 한다”며 “이대로라면 아무런 활동도 못하고 묶여 있어야 한다”고 비판했다. 일부에선 박근혜 전 대표의 이름만 팔고 있다는 불만도 있다.
이에 서 대표의 한 측근은 “아무것도 결정된 것이 없다”며 “지금은 개개 의원들의 거취에 대해 말할 때가 아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