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이계 몫 빈자리…“대리인 두자”“안될말” 맞서
비어있는 당원협의회 위원장(옛 지구당 위원장) 인선 문제가 한나라당 이명박계와 박근혜계 사이의 불씨가 될 조짐이다.
16일까지 사퇴나 탈당 등으로 자리가 빈 한나라당 당원협의회 위원장 자리는 모두 18곳이다. 이 가운데 친이-친박 진영이 가장 첨예한 신경전을 벌이고 있는 지점은 당협위원장이 청와대나 공기업으로 자리를 옮겨 공석이 된 4곳이다. 부산 수영구는 박형준 전 의원이 청와대 홍보기획관으로, 인천 계양갑 지역은 김해수 위원장이 청와대 정무비서관으로 자리를 옮기며 비었다. 충남 천안갑과 홍성·예산 지역은 각각 전용학, 홍문표 전 의원이 공기업 임원으로 가면서 공석이 됐다. 이들은 모두 친이계 인사들이다.
친이 쪽은 “새로 당협위원장을 뽑지 말고 대리인을 두자”는 주장이다. 당 조직강화특위의 친이 의원은 “외부 정무직에 나가있지만 여전히 본인들이 정치에 뜻을 두고 있는 만큼 당협위원장직을 유지해 주든지, 당사자의 대리인이 당협위원장을 맡도록 해야 한다”며 “조직강화특위 위원장인 안경률 사무총장도 같은 생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친박 쪽은 터무니없다는 태도다. 한 친박 당직자는 “애초 공석 중인 당협위원장 자리는 모두 공모를 통해 뽑기로 한 것”이라며 “대리인을 넣자는 것은 자기 세력를 유지하겠다는 속셈으로 말도 안 되는 주장”이라고 말했다.
두 진영의 신경전은 조기 전당대회 변수로 더욱 증폭된 면이 있다. 박희태 대표가 대표직을 내놓고 4월 재보궐 선거에 출마할 경우 조기 전당대회가 불가피하고 이에 대비해 양쪽이 ‘야전 사령관’ 격인 당협위원장 확보에 미리 촉각을 세우고 있다는 것이다.
친박 쪽은 지난해 7월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된 뒤 복당한 의원 19명이 여전히 당협위원장이 되지 못하고 있는 부분도 불만이다. 일단 안경률 사무총장은 이날 <불교방송> 라디오 김재원의 아침저널에서 “(과거엔 현역의원이 당협위원장을 맡는) 경우가 많았다”고 답했다.
하지만 친박 무소속 출신 들에게 밀려 낙선한 친이 원외위원장들은 오는 20일 전국원외당원협의회 창립대회를 열어 이에 반대할 작정이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