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동영 13일 출마여부 확정
부평을 후보 초미 관심사로
부평을 후보 초미 관심사로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4·29 재선거를 향해 고삐를 죄고 있다. 두 당은 ‘지역경제 일꾼론’(한나라당)과 ‘이명박 정권 중간평가론’(민주당)을 간판 구호로 삼아 각자에 유리한 구도 만들기에 나섰다.
한나라당은 ‘여당 후보만이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다’는 논리를 내세운다. 당 공천심사위원장을 맡고 있는 안경률 사무총장은 수차례 “국민의 관심은 어느 후보가 경제를 잘 살릴 수 있고 이에 정부가 얼마나 역할을 해줄 수 있는가에 있다”고 말했다. 이명박 정부의 국정 지지도가 30% 초중반에 머무는 상황에서 ‘중간평가’ 구도로 선거가 흐르면 결코 득될 게 없다는 판단이 작용하고 있다.
지역적으론 인천 부평을과 경주에 당력을 쏟을 분위기다. 부평을에선 ‘여당 일꾼론’을 내세워 침체에 빠진 지엠대우 공장에 활기를 불어넣을 수 있는 공약을 내걸면 승산이 있다는 판단이다. 1996년 이후 이 지역 국회의원 선거에서 여당 후보가 승리했다는 점도 고려하고 있다. 스스로는 ‘부평의 ㅂ자도 생각해본 일이 없다’고 했지만 박희태 ‘집권여당 대표’ 출마설이 도는 것도 이 때문이다. 경주에선 친이명박 진영의 지지를 등에 업은 정종복 전 의원의 공천 가능성이 거론되지만 친이-친박 갈등 탓에 예단하긴 어렵다. 11일 1차 공천 신청 접수를 마감한 결과 부평을 10명, 경주 7명이 신청했고 전주 덕진과 완산갑엔 4명씩 지원했다.
민주당은 ‘이명박 정부 1년 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운다. 이명박 정부의 각종 실정을 부각해 승리함으로써 정국 주도권을 확보하겠다는 계산이다. 텃밭인 호남에서부터 개혁 공천을 해 수도권인 부평을까지 바람을 일으키겠다는 전략을 세우고 있다. 이미경 사무총장은 이날 라디오 ‘에스비에스 전망대’에 나와 “이명박 정부에 대해서 회초리를 들고 싶은 국민들 마음을 솔직하게 대변하는 것이 최대의 선거 전략”이라고 말했다. 민주당이 민주노동당 쪽과 ‘반이명박 연합공천’을 꾀하고 있는 것도 이런 연장선상에 있다. 민주당은 이번주 공천심사위원회를 꾸려 후보자 선정에 속도를 낼 작정이다.
관심은 개혁 공천의 시금석이 될 정동영 전 통일부 장관 출마 여부와 최대 격전지 ‘인천 부평을’ 후보가 누가 될지로 모인다. 불출마로 마음이 기운 것으로 알려진 정 전 장관은 13일 출마 여부를 공개적으로 밝힐 작정이다. 최규식 의원은 “앞으로 이틀간 연락을 끊고 마음을 정리할 것”이라며 “13일 워싱턴 특파원들과 기자간담회를 열어 귀국 여부에 대한 최종 태도를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 부평을은 한나라당 후보를 본 뒤 ‘전략 공천’ 하는 쪽으로 정리되고 있다. 이미경 사무총장은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가 부평에 출마하면 거기에 상응하는 카드를 내놓고 한판 승부를 할 준비가 돼 있다”고 자신감을 내비쳤다. 민주노동당과 진보신당은 울산 북구에서 후보단일화를 위한 논의를 진행중이다. 성연철 송호진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