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소장파 의원들이 6일 오전 국회 의원회관에서 당 쇄신 방안과 관련해 모임을 한 뒤 무거운 표정으로 회의실을 나서고 있다. 오른쪽부터 정병국, 원희룡, 남경필 의원.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갈등 해소 되겠나”…친이계도 부정적 의견 상당수
한나라당 안팎에서 김무성 원내대표 추대론이 무성하다. 이명박 대통령과 박희태 한나라당 대표의 6일 청와대 회동 뒤 ‘김무성 원내대표 카드’가 더 힘을 얻고 있다. 박근혜계 끌어안기의 일환으로 부득이한 선택이라는 해석이 뒤따랐다. 남경필·원희룡·정병국 의원 등 소장파 출신 중진들도 이날 모임 뒤 ‘새 원내대표는 친박 진영 인사가 맡아야 한다’는 의견을 정리했다.
그러나 김무성 원내대표론에 회의적인 목소리도 많다. 친박 의원을 원내대표로 뽑는다고 골 깊은 친이-친박간 갈등이 해소되겠느냐는 것이다. 한 친이 의원은 “김 의원을 기용한다고 박근혜 전 대표가 국정에 책임을 지려고 하지는 않을 것이다. 그러면서도 친박이 김 의원을 디딤돌 삼아 향후 지방선거나 19대 공천을 노린 당권 장악에 나설 것”이라며 “김무성 원내대표론은 아무 효과 없는 미봉책으로 계파간 갈등의 골만 깊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 진영에서도 부정적 기류가 나온다. 우선 박 전 대표의 태도가 불투명하다. 박 전 대표는 5일 미국 출국 전 김무성 원내대표론에 대한 견해를 묻는 질문에 아무 언급도 하지 않았다. 한 친박 재선 의원은 “박 전 대표와 이 대통령 간의 신뢰회복 절차 없이 김무성 원내대표론이 나오는 것은 일의 순서가 바뀐 것”이라고 말했다. 다른 의원은 “김 의원이 원내대표가 돼 국회가 여야 대립으로 경색되면 친이 쪽에서 친박 쪽에 덤터기를 씌우려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저녁 일부 친박 의원들은 김 의원을 만나 “원내대표 제의가 와도 받지 말라”는 의견을 내놓았다.
원내대표 경선에 뜻을 둔 친이 중진들을 주저앉혀야 하는 것도 현실적인 과제다. 원내대표 경선 참여를 선언했던 정의화 의원은 이날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정치생명을 걸고 원내대표 선거에 나선 만큼 중도 포기는 없다”고 말했다. 안상수 의원도 “박근혜 전 대표가 김무성 원내대표론에 명시적으로 동의하지 않았다. 박희태 대표도 원내대표 자리를 거론할 권한이 없다”고 말했다.
성연철 최혜정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