형님권력·인적쇄신 먼저 거론할 듯
4·29 재보선 전패 뒤 당 쇄신과 화합을 내건 한나라당 쇄신특별위원회가 13일 출범해 활동에 들어갔다. 원희룡 쇄신특위 위원장은 이날 친이-친박-중립계를 아우른 14명의 원내외 쇄신위원 명단을 발표한 뒤 기자회견을 열어 “국민이 가장 상식적으로 생각하는 문제를 성역없이 다루고, 집권여당다운 책임있는 대안을 내는 쇄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쇄신특위의 활동은 ‘선 쇄신 후 화합’으로 모아지는 분위기다. 쇄신위원 사이에는 먼저 청와대와 당내 친이명박계 비선세력의 책임을 강도 높게 추궁하고, 친박근혜 쪽에 당의 화합을 위해 협조를 요구하는 게 정석이라는 기류가 강하다. 친박근혜 쪽 특위위원은 물론 정태근, 신성범 의원 등 친이계 위원들도 조기 전당대회 등을 통한 계파탕평보다는 당청관계 개선, 이명박 정부의 국정운영 기조 변화, 당·정·청 전반에 걸친 인적 쇄신에 무게를 두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쇄신위원들은 ‘형님권력’으로 규정된 이상득 의원에 대한 책임 추궁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한 친이계 쇄신위원은 “이 의원은 이명박 정부 초기 강부자, 고소영 내각인사에 영향력을 행사해 왔고, 경주 공천에서도 특정인을 무리하게 공천하도록 해 당내 계파 갈등을 증폭한 핵심 당사자”라며 “당연히 ‘형님’ 문제를 다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의 의원직 사퇴나 정계은퇴 혹은 대국민 사과 요구 등 그 수위가 문제일 뿐이라는 얘기도 나온다. 다른 한 쇄신위원은 “여론조사 등을 통해 이 의원의 선택을 요구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내각의 인적 쇄신도 논의의 핵심의제가 될 것으로 보인다. 한 친박 성향의 쇄신위원은 “국회를 무시하는 유명환 외교부장관 등 지금 문제있는 장관들이 한둘이냐”며 “이런 사람들을 정확히 평가해 교체해야 한다”고 말했다. 상하관계가 되다시피한 청-당 관계 개선과 부자편향의 밀어붙이기식 국정운영 개선 요구도 청와대에 강도높게 전달할 전망이다.
심재철 의원 등 ‘함께 내일로’의 일부 친이 의원들이 주장해온 조기 전당대회는 쇄신위에서 우선 순위에서 뒤로 밀릴 가능성이 높다.
이날 구성된 특위에는 친이 쪽에서 임해규, 김성태, 신성범, 정태근 의원과 고경화, 송태영 당협위원장, 안재홍 국책자문위원 등 7명이, 친박은 진영, 김선동, 이정현, 이진복, 박보환 의원 등 5명이 포함됐다. 장윤석, 나경원 의원은 중립으로 분류된다.
성연철 신승근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