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왼쪽)가 21일 오후 국회에서 원내대표와 정책위의장을 뽑는 투표를 한 뒤 박희태 대표(앞줄 오른쪽) 앞을 지나치고 있다. 앞줄 가운데는 홍준표 전 원내대표.
김봉규 기자 bong9@hani.co.kr
원내대표 선거 과정서
“판단과정 공유 안돼…견고한 댐에 구멍뚫려”
“판단과정 공유 안돼…견고한 댐에 구멍뚫려”
일사불란하던 ‘친박’, 박근혜 비판론 “박근혜라는 견고한 댐에 바늘구멍이 뚫렸다.”(박근혜계 한 참모)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주변이 시끄럽다. 2007년 당내 대선 경선부터 4·29 경주 국회의원 재선거까지 친박 진영은 일사불란했다. 하지만 최근 ‘김무성 원내대표론 거부→최경환 정책위의장 출마 용인과 실패’로 이어지는 과정에서 참모들은 ‘주군’의 문제를 이례적으로 입에 올리기 시작했다. ■ 어려운 소통 “박 전 대표와 소통이 힘들다는 게 제일 아쉽다.” 한 참모의 말이다. 측근인 최경환 정책위의장 후보 출마와 실패 과정은 박 전 대표와 친박 의원 간의 소통부재를 여실히 보여줬다. 김무성 원내대표론 거부 뒤 ‘당무 비협조’ 여론에 큰 부담을 느낀 박 전 대표는 최 의원의 출마를 ‘승인’했다. 이 과정은 친박 진영 안에서 거의 공유되지 않았다. “당혹스럽다”, “김무성은 안되고 최경환은 되는 원칙이 일관성이 있느냐”란 반응으로 친박진영이 술렁였다. 결과는 패배였다. 한 영남권 재선의원은 “이번 박 전 대표의 판단은 동의하기 어려웠다. 전후 과정을 의원들과 공유했어야 했다”고 말했다. 미국 방문 중 이뤄진 김무성 원내대표론 전격거부 결정에도 아쉬움을 표하는 사람이 적지 않다. 한 참모는 “이 문제를 두고 박 전 대표와 김 의원 간에 전화 통화도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일부 측근의 정보에만 의존한다는 비판도 나온다. 한 참모는 “박 전 대표가 자신의 생각을 거스르지 않는 몇몇 의견에 의존하다 보니 다양한 사람들의 의견을 못 듣는 것 같다”고 전했다.
■ 배제의 용인술, 고착되는 계파수장 이미지 김무성 의원은 21일 원내대표 선거 당시 일본에 머물렀다. 출국 전 그는 “당분간 박 전 대표와 연락할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한 참모는 “그래도 친박의 좌장인 김 의원의 원내대표 출마를 단칼에 자른 것은 너무했다”고 말했다. 한 초선 의원도 “열심히 한 사람을 대표가 인정해주지 않으면 누가 남아있겠느냐”고 말했다. 이번 원내대표 선거에서 안상수 의원과 짝을 이뤄 출마해 정책위의장이 된 김성조 의원이 친박 진영에서 배제될 것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있다. 한 참모는 “몇명 되지 않는 친박 진영에서 이리저리 딱지를 붙여 소외를 하는 일은 있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계파 수장의 이미지가 굳어진 것도 부담이다. 박 전 대표는 이달 미국 출장에서 “친박이 당이 하는 일에 발목 잡은 게 뭐가 있느냐”고 주류 친이계를 정면 겨냥했다. 그러나 그의 의중이 최경환 의원에 실린 것으로 알려지며 원내대표 선거는 단박에 친이-친박 대결 구도로 내달렸다. 한 측근은 박 전 대표가 “친이-친박의 경계를 허물지 못하고 있다. 오히려 계파의 경계를 강화해 버렸다”고 아쉬움을 토로했다. 경선 캠프에서 일한 한 참모는 “박 전 대표는 2인자를 두지 않고 자기가 총괄한다”며 “중간 보스의 구실을 강화하고 사람들을 안아야 한다”고 말했다. ■ 박근혜 변화할까, 고수할까 이번 원내대표 경선과정을 거치며 박 전 대표가 ‘배제의 정치’가 아닌 ‘덧셈의 정치’로 전환할 필요가 있다는 인식이 친박 진영에서 제기되고 잇다. 대선 후보 경선 패배 뒤 각종 선거 승리로 정치적 위상은 확대했지만, 여권의 책임있는 대안으로 인식되려면 뭔가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한 영남권 의원은 “박 전 대표의 국민적 지지는 높지만 당내에선 비주류란 것을 이번에 절감했을 것”이라며 “현실을 확인한 만큼 박 전 대표도 여러가지 생각을 할 계기가 되지 않았겠느냐”고 말했다. 그러나 측근들 사이에는 ‘원칙’을 강조해온 박 전 대표의 기조가 갑자기 바뀌지는 않을 것으로 보는 분위기가 우세하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