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 “조기 전대=이재오 당권 포석” 경계…친이 “앞일 몰라”
지도부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 등 한나라당의 쇄신 소용돌이 속에서 대척점에 서 있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와 이재오 전 최고위원은 침묵을 지키고 있다.
박 전 대표는 2주 전 원내대표 선거에서 밀었던 최경환 정책조정위원장 카드가 실패한 뒤 또다시 침묵이다. 하지만 측근들의 발언들에서 박 전 대표의 생각을 짐작할 수 있다. 박 전 대표는 일단 지도부 사퇴와 조기전대론에 부정적인 듯하다. 이정현 의원은 “조기 전대보다 중요한 것은 국정 쇄신”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친박 핵심 당직자도 “쇄신위가 검찰의 무리한 수사, 부자 감세, 일방적 정책 발표 등 민심이반의 핵심인 이명박 대통령의 태도 변화를 정면으로 요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 쪽은 지도부 사퇴론이 조기 전대 → 이재오 전 의원 당권 장악 → 당의 친이 친위대화라는 정치적 의도에 따라 진행되고 있다고 보는 시각이 강하다. 현실적으론 전당대회에 참여해도 비주류로서 승산이 높지 않다는 점도 고려한 듯하다. ‘명분’을 쇄신위가 쥔 상황에서 박 전 대표가 어떤 발언을 해 봐야 득이 없다는 계산도 깔려 있다.
이재오 전 의원 쪽은 극도로 몸을 사리는 분위기다. 조기 전대론을 김용태, 정태근, 권택기 의원 등 친이재오계 의원들이 적극 주도하면서 당 안팎의 여론이 ‘이재오 당권 복귀를 위한 포석’이라고 해석되는 탓이다. 당에선 “기껏 쇄신의 결과가 이재오 전 최고위원의 복귀냐”, “이재오 전 의원 역시 원외이고 더구나 선거에서 유권자의 심판을 받아 낙선한 사람 아니냐”는 비판이 적지 않다. 한 참모는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이 전 의원 역시 시국의 위중함을 알고 당·정·청에서 큰 틀의 인적 쇄신을 해야 한다는 생각에 공감한다. 하지만 이 전 의원이 조기 전대론의 배후로 상황을 주도하는 것처럼 단정하는 것은 지나치게 계파적인 시각”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