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규직법 등 동상이몽
“그래도 교섭단체 안깨”
“그래도 교섭단체 안깨”
정체성이 다른데도 하나의 교섭단체(선진과 창조의 모임)를 꾸린 자유선진당과 창조한국당이 다시 삐거덕거린다.
두 당은 최근 비정규직법 해법을 두고 설전을 벌였다. 선진과 창조의 모임 원내대표를 맡고 있는 문국현 창조한국당 대표는 5일 비정규직법 관련 여야 3당 교섭단체 원내대표 회담에서 “시행 유예기간을 둘 수 없다”고 밝혔다. 이는 법 시행 1년6개월 유예를 주장하는 선진당 안과 다른 것이다. 두 당은 서로 상대방의 주장에 대해 “선진과 창조의 모임의 공식 견해가 아니다”라고 맞섰다.
두 당은 언론관련법에서도 생각이 다르다. 선진당은 신문사와 대기업의 방송 소유지분 허용 비율을 지상파 10%, 종합편성채널 20%, 보도전문채널 30%로 제안한 반면, 창조한국당은 상위 20대 대기업이나 발행 부수 점유율 10% 이상인 신문사는 지분을 소유할 수 없도록 하는 안을 갖고 있다.
하지만 두 당이 불편한 동거를 깰 가능성은 높지 않아 보인다. 두 당 모두 교섭단체(20석 이상)로 홀로서기가 어렵기 때문이다. 애초 두 당은 지난해 5월 교섭단체 구성 때부터 △대운하 반대 △공교육 강화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중소기업 지원 강화 등 4개 분야만의 한정된 정책공조를 약속했다. 박선영 선진당 대변인은 “네 분야 외엔 두 당의 생각이 다를 수 있다”며 “교섭단체를 깨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