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고회의서 공개보고 눈길
“언론관계법 개정이 미디어산업 발전에 도움 된다”는 한나라당의 논리가 한나라당 자체 여론조사에서도 대다수 국민의 공감을 얻지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진수희 여의도연구소장은 6일 한나라당 최고위원회에서 “미디어법과 관련한 여의도연구소 조사를 보면 법안이 미디어산업 경쟁력을 높이는 목적에 공감한다는 의견이 40.4%, 공감하지 않는다는 의견이 45.9%로 나타났다”며 “지난 몇 주에 걸친 당의 집중적인 홍보 결과로 긍정적인 답변이 조금씩 높아진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보고했다. 이는 한나라당의 홍보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더 많은 국민들이 “언론관련법 개정이 규제를 풀어 미디어 산업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한나라당의 주장에 동조하지 않는다는 사실이 한나라당 부설 연구소의 조사에서 확인된 것이다.
진 소장은 또 “미디어법의 구체적인 내용까지 잘 안다고 대답한 비율이 43.6%이고 명칭만 들어봤다고 응답이 49% 정도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런 조사도 “언론관계법에 관한 여론조사는 국민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어 적절치 않다”는 한나라당의 주장에 허점이 있음을 보여준다.
이날 최고위에 참석한 한 의원은 “한나라당은 ‘국민 다수가 미디어법에 관해 잘 모른다’며 미디어발전 국민위원회의 여론조사 실시도 반대해 온 것 아니냐”며 “공개 석상에서 이런 여론조사를 발표하는 것을 듣고 깜짝 놀랐다”고 말했다.
진 소장은 여론조사에 대해 “구체적인 내용까지 잘 안다고 응답한 분들도 실상 미디어 법안의 내용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지, 민주당이 일방적으로 선전한 허구적인 내용을 알고 있는지 이 조사에선 분간할 수 없지만 제 추측으로는 잘못된 내용을 알고 있다 이렇게 응답한 분들의 비율이 높지 않을까 추측한다”고 다소 ‘궁색한’ 분석을 내놓았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