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론과 무관하게 4대강-개헌특위 ‘빅딜’ 제안
김무성(사진) 한나라당 원내대표의 심기가 편치 않아 보인다. 당 주류인 친이명박계의 잇단 ‘도발’ 탓이다.
이군현 원내 수석부대표는 12일 여야 수석부대표 회담에서 한나라당은 4대강 특위를, 민주당은 개헌특위를 서로 수용하자는 제안을 했다. 이 수석부대표의 제안은 “국가사업을 원활하게 추진할 수 있다면 4대강 검증특위를 마다할 게 없고, 개헌특위도 만들어 국민이 바라는 안을 택하면 된다”는 이재오 특임장관의 11일 발언이 나온 지 하루 만에 이뤄진 것이다. 당 안팎에선 친이재오계로 분류되는 이 수석부대표가 원내 지도부와는 무관하게 이 특임장관을 대변했다는 분석이 적지 않다. 실제 김 원내대표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아는 바 없는 내용이다. 협상 과정에서 나온 이야기로 당론이라 할 수 없다”며 부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그는 이 수석부대표를 불러 질책한 것으로 알려졌다.
김 원내대표는 취임 초기인 지난 6월에도 세종시 수정안을 끝까지 밀어붙여 본회의 표결까지 끌고 간 친이계와의 갈등 탓에 곤욕을 치렀다. 김 원내대표는 당시 국토위에서 부결된 세종시법 수정안을 본회의에 부치는 것에 부정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주류 쪽 일부는 김 원내대표가 내세우는 ‘정치의 복원’에 곱지 않은 시선을 보내며 ‘박지원 민주당 원내대표에게 휘둘린다’고도 비판한다.
이런 미묘한 갈등은 친이계와 김 원내대표의 여권 내 정치적 입지나 이해관계가 다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친이계는 당내 주류로서 자신들의 정치적 어젠다를 관철하려는 의지가 강한 반면, 김 원내대표는 원내대책 책임자로서 여야관계 등 원만한 국회운영에 더 무게를 둘 수밖에 없는 처지라는 것이다. 김 원내대표는 “다수인 여당이 힘으로 야당을 이기는 것은 쉽다. 일부 예외는 있겠지만 기본적으로 여당은 야당에 양보하고 내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친박근혜계 ‘좌장’에서 한나라당 정권 재창출의 산파 구실을 자임한 김 원내대표의 ‘제3의 정치공간 만들기’ 실험은 여전히 진행중인 셈이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