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7년 경선때 정책 저조’ 판단
정치·정책 분리 ‘투트랙’ 원칙
회원들 자발적 요구도 한몫
정치·정책 분리 ‘투트랙’ 원칙
회원들 자발적 요구도 한몫
“이제 시작하는 것인데요, 뭐. 그냥 하지요.”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대선 싱크탱크인 국가미래연구원 출범(27일)에 대해 일부 측근이 시기가 이르다며 우려하자 했다는 얘기다.
박 전 대표가 싱크탱크 조기 발족을 결심한 이면에는 ‘정치와 정책의 분리’라는 원칙이 작용했다는 후문이다. 박 전 대표는 지난 2007년 대선 경선 당시 정치 행위에 밀려 정책 개발이 저조했다는 판단이 강하다고 한다. 28일 한 측근은 “지난 경선 때는 정치 아래 정책이 있었다면 이번엔 정치와 정책을 투톱으로 나란히 세워 분리하겠다는 게 박 전 대표의 생각”이라고 전했다. “다음 대선은 조직이 아니라 정책 선거가 될 것“이라는 김용환 전 의원의 조언도 박 전 대표가 정책 연구에 역점을 두는 계기로 작용했다고 한다.
박 전 대표는 애초 국가미래연구원 발기인 총회가 외부에 공개되지 않길 바랐던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국가미래연구원이 “투명한 회계처리와 국내외 유명인사 초청 등 연구활동 활성화”(김광두 원장) 차원에서 사단법인으로 만들기로 하면서 발기인 대회와 정부 승인이란 필수 과정을 거칠 수밖에 없었다고 한다.
박 전 대표 쪽은 국가미래연구원이 ‘핵심 싱크탱크’, ‘섀도 캐비닛(예비 내각)’이란 평가에 부담감을 표시하고 있다. 한 측근은 “국가미래연구원은 박 전 대표가 참여하고 있는 수많은 정책 연구·자문 그룹 중의 하나”라며 “다른 정책자문그룹들이 소외감을 느끼지 않고 활동할 동기를 부여하려 시차를 두고 2, 3차로 정책그룹을 공개할 것”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