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두언
비정규직 등 소외층 정책 앞장
개헌·과학벨트는 MB에 맞서
개헌·과학벨트는 MB에 맞서
정두언 한나라당 최고위원이 ‘정치적·정책적 홀로서기’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정 최고위원은 23일 국회에서 비정규직 문제를 다룬 전문가 토론회를 열었다. 그는 “사회적 양극화의 최대원인으로 여겨지는 비정규직 문제는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최우선 과제가 되었다”고 말했다. 그는 지난해 12월엔 신자유주의를 비판해온 장하준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를 초청해 ‘새로운 자본주의와 한국경제의 미래’ 토론회를 열었다. 성장과 경쟁을 중시하고 노동문제엔 관심이 덜한 한나라당에선 낯선 주제들이다.
정치적으론 이명박 대통령과 ‘결별’하는 모양새다. 최고위원회가 당내 개헌논의기구를 꾸린 21일, 그는 회의 도중 나와 “개헌 논의는 중단해야 한다. 민생이 시급하다”고 기자회견을 했다. 청와대에서 부부동반으로 최고위원들이 이 대통령과 만찬을 하고 온 바로 다음날이었다. 정 최고위원은 “밥 한 끼 먹었다고 (개헌 논의 반대) 입장을 바꾸면 되느냐”고 했다. 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 선정 문제에서도 그는 일찌감치 충청권 유치를 주장해 청와대와 결을 달리했다. 지난해 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불법사찰 문제가 제기됐을 때 자신도 사찰을 받았다고 주장했지만 청와대가 “확실한 증거를 대고 말하라”고 하는 걸 보고 기대를 접었다고 한다.
평가는 엇갈린다. 친박계인 이성헌 의원은 “청와대에 면종복배하지 않고 지역의 민심이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보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 친이계 의원은 “현 정권을 만든 실세라는 존립기반이 자의든 타의든 소멸하면서 정권 비판과 각 세우기로 총선 살아남기 전략을 세운 것 같다”며 정 최고위원의 최근 행보를 ‘총선 생존전략’으로 규정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