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화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왼쪽 둘째)이 12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비대위 첫 회의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다.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대선주자들 출마 관련해
김문수쪽-친박 태도 갈려
위원중 5명 포진 ‘쇄신파’
전당원투표제 실시 주장친이재오계는 반대 뜻
김문수쪽-친박 태도 갈려
위원중 5명 포진 ‘쇄신파’
전당원투표제 실시 주장친이재오계는 반대 뜻
비대위 첫 회의 열어
논란 끝에 출범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위원장 정의화)가 12일 첫 회의를 열어 7월4일 전당대회를 치르기로 잠정 결정했다. 하지만 당 대표 선출 방식을 둘러싼 이견이 적지 않아 진통이 예상된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이날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회의에서 “폭풍우가 치는 망망대해에 표류하고 있는 한나라당호의 등대 구실을 할 수 있도록 비상한 각오로 일하자”고 말했다. 비대위는 다음 당 대표와 최고위원을 뽑을 전당대회를 7월4일 서울 잠실체육관에서 치르기로 하는 데는 쉽게 합의했다.
또 비대위는 소장쇄신 모임인 ‘새로운 한나라’의 회원 박보환, 박영아, 권영진, 황영철 의원을 비롯해 신지호, 나성린 의원 등 6명의 비대위원을 추가로 선임했다. 이에 따라 비대위는 정 위원장을 비롯해 총 19명으로 꾸려졌다. 김성식 의원이 정책위 부의장으로 자리를 옮기면서 박순자, 김선동 의원 2명만 비대위원이었던 ‘새로운 한나라’는 비대위의 3분의 1에 이르는 비중을 차지했다.
전당대회 날짜에 대해선 무난히 합의에 이르렀지만 비대위는 앞으로 당 대표 선출 방식을 둘러싼 난제를 풀어야 한다. 당장 김문수 경기지사의 측근인 차명진 의원은 “새로운 지도부의 출마 자격에서 외부 인사를 어떻게 포함할 것인지, 당권·대권을 분리할 것인지 빨리 결론내야 한다”며 ‘대선에 출마하는 사람은 대선 1년6개월 전에 선출직 당직에서 사퇴해야 한다’는 당헌·당규 개정 문제를 제기했다. 김 지사는 당헌이 바뀌어 박근혜 전 대표 등 당내 대선주자들이 나오면 전대에 출마할 수 있다는 뜻을 내비친 바 있다. 하지만 친박근혜계는 이 규정을 고치는 데 소극적이다.
쇄신 소장파들이 주장하는 전당원 투표제나 당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에는 친이재오계 등 구주류 쪽이 부정적이다. 친이재오계로 분류되는 한 비대위원은 “투표의 투명성이 보장되지 않고 비효율성이 크다”고 반대론을 폈다. 양쪽의 논란엔 당권을 둘러싼 유불리 계산이 깔려 있는 것으로 보인다.
더 근본적으로는 비대위의 활동 범위를 놓고도 의견이 맞선다. 친박계인 김성조 의원은 “비대위의 첫번째 임무는 누가 뭐라 해도 당 지도부를 잘 순산하는 것”이라며 ‘전대 준비’를 강조했다. 비대위의 성격 자체를 일종의 ‘전당대회 준비위’로 하자는 의견이다. 그러나 친이계 정용화 비대위원은 이날 회의에서 “전대를 준비하는 형식적이고 과도적인 비대위라면 사퇴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정의화 비대위원장은 “전당대회 규칙을 마련하는 데 논란이 심할 것 같다”며 “당권-대권 분리, 전당원 투표제, 당 대표-최고위원 분리 선출 등 3가지 문제는 소위가 아닌 전체회의에서 최우선적으로 다루겠다”고 말했다.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옥중수기 ‘안중근 역사’는 총독부 관리 필독서였다”
■ 왕수석의 자서전 ‘문재인의 운명’
■ 후쿠시마 또 고농도 오염수 바다로
■ ‘강화유리 사고’ 보호막이 없다
■ ‘박근혜 정치’는 아버지의 그림자 어디쯤에…
■ 사이버섹스방 운영 혐의로 필리핀, 스웨덴인 2명에 종신형
■ “당신 살아있는 한, 떠나지 않겠다” 빈라덴 아내, 11년 전 약속 지키다
■ 왕수석의 자서전 ‘문재인의 운명’
■ 후쿠시마 또 고농도 오염수 바다로
■ ‘강화유리 사고’ 보호막이 없다
■ ‘박근혜 정치’는 아버지의 그림자 어디쯤에…
■ 사이버섹스방 운영 혐의로 필리핀, 스웨덴인 2명에 종신형
■ “당신 살아있는 한, 떠나지 않겠다” 빈라덴 아내, 11년 전 약속 지키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