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쪽 “대학등록금·양극화 관련
대학생 등 만나는 타운미팅 열것”
새 당지도부와 협력체제 가능성도
대학생 등 만나는 타운미팅 열것”
새 당지도부와 협력체제 가능성도
이명박 대통령과의 지난 3일 청와대 회동에서 사실상 ‘포괄적인 대선 행보’를 양해받은 박근혜(사진) 전 한나라당 대표의 발길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측근들은 “활동 공간을 확보한 만큼 (활동을 자제해 온) 과거와는 다를 것”이라며 행보가 빨라질 것임을 예고했다.
일단 당내 문제보다는 당 바깥 민생 문제를 화두로 삼을 가능성이 커보인다. 지난 3일 이미 이 대통령에게 “민생 문제를 해결하고 신뢰를 얻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친박의 한 초선 의원은 5일 “민생 경제와 지속가능한 발전이 최근 박 전 대표가 최근 가장 관심을 기울이고 있는 문제”라며 “대학 등록금 문제 등 서민 생활과 관련된 행보를 펼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7·4 전당대회 규칙이 확정된 터라 당내 정치에 관한 언급은 피할 가능성이 높다.
활동 방식으로는 소규모 타운미팅이나 간담회 등이 거론된다. 한 친박 의원은 “시기가 문제일 뿐 타운미팅 형식의 소규모 간담회는 반드시 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한 친박 의원도 “쇼를 싫어하고 진정성을 강조하는 박 전 대표이기 때문에 당사자들의 고민을 직접 듣는 타운 미팅이나 포커스 그룹 집중인터뷰(FGI) 형식을 띤 활동을 할 수 있다”며 “이를테면 등록금 문제나 양극화와 관련해 대학생, 빈곤층, 가정 주부, 사회복지사 등을 만나 적나라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대학이나 단체 특강도 예상된다. 한 영남 의원은 “박 전 대표에게 강의해달라는 요청이 숱하게 들어오지만 미뤄두고 있다”고 말했다.
이런 방식은 박 전 대표에게 두 가지 이점이 있다. 이런 문제는 주로 수도권 20~40대층에 민감한 문제들이다. 바로 박 전 대표가 취약한 계층이어서 자연스럽게 지지율 높이기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동시에 민생문제를 다루는 방식이어서 대선 행보 본격화 논란을 피해 갈 수도 있다.
7·4 전당대회 이후엔 새로운 당 지도부와 협력하는 형식으로 당무에 참여할 가능성도 있다. 박 전 대표가 당무에 참여해 발언할 수 있는 공간을 새 지도부가 만들어 줄 것이란 관측도 나온다. 한 초선 의원은 “현재 박 전 대표가 참석할 수 있는 회의는 1주일에 한번 있는 최고중진연석회의인데 새 지도부가 꾸려지면 새로운 차원의 회의체를 만들 수도 있을 것”이라며 “이를테면 전직 당 대표들의 회의체 같은 것도 생각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의 활동반경이 넓어지면서 민주당도 그를 향한 공격의 수위를 높이고 있다. 그동안 이명박 대통령에게 집중해온 공격의 포인트를 박 전 대표에게로 분산하려는 흐름이다. 박 전 대표가 이 대통령과의 공감 속에 정치적 공간을 넓히고 나설 경우 ‘박근혜 대세론’이 굳어질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민주당이 최근 박 전 대표의 동생인 박지만씨를 저축은행 비리와 연결지으며 공세를 강화하고 있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 볼 수 있다. 박영선 민주당 정책위의장은 5일 기자간담회에서 “박지만씨와 관련해 날마다 제보가 들어오고 있다”고 말했다.
성연철 이유주현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