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희룡 “도덕·사법적 책임져야”
초선 의원들도 잇따라 비판
초선 의원들도 잇따라 비판
한국방송(KBS)의 민주당 비공개 회의 도청 의혹 파문이 번지면서 한나라당 안에서도 우려와 비판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한나라당 전당대회에 출마한 원희룡 의원은 30일 <시비에스>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에 나와 “사실 관계가 아직 나오지 않아 단정할 순 없다”면서도 “공당의 대표실 도청을 하고 이것을 다른 의도로 사용한다면 법적인 문제 이전에 도덕적인 문제가 심각하게 제기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민간인 사이의 도청도 문제가 되고, 처벌까지 받지 않느냐. 언론이라는 게 워낙 (취재원에게) 접근하려고 모든 노력을 하다 보니 꼭 법을 지키면서 다 해야 하느냐는 말이 있을 수 있겠으나 (진상이 드러난다면) 각각 기준에 맞게 도덕적, 사법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른 한나라당 의원들도 ‘사실이라면’이란 단서를 달면서도 황당하고 상상하기 힘든 일이 벌어졌다는 반응이다. 한 수도권 초선 의원은 “국회의원들의 의정활동을 기관의 이익을 위해 도청했다면 이는 민주주의에 대한 근본적인 도전이자 의회주의를 파괴하는 행위”라며 “있을 수 없는 일로 정말 국제적인 망신”이라고 말했다. 또다른 초선 의원도 “취재용 마이크를 실수로 회의장에 두고 나와 녹음이 됐다고 해도 녹취록을 만들어 이용했다면 정말 비겁하고 부도덕한 일이다”라고 말했다. 언론의 자질을 망각했다는 우려도 나왔다. 한 서울 초선 의원은 “자사의 이익을 위해 언론의 사명을 버리는 일을 했다면 참으로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도청 의혹이 불거지면서 한국방송 수신료 1000원 인상은 사실상 물 건너 가는 것 아니냐는 말도 나왔다. 한 영남지역 의원은 “사실이라면 정말 황당한 일이 벌어진 것으로 이는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문제”라며 “이런 상황에서 한국방송 수신료 인상은 당분간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당 안에선 진상 파악까지 기다려봐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다. 한 서울 초선 의원은 “명확한 진상이 밝혀지기 전엔 미리 어떻다고 이야기할 수가 없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