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박과 친이 사이=새로 선출된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운데)뒤로 유승민(오른쪽), 원희륭(왼쪽) 최고위원이 5일 오전 서울 여의도 한나라당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자리로 향하고 있다. 탁기형 선임기자 khtak@hani.co.kr
한나라 최고위원회 첫 주재
친박 유승민 “바람직 않다”
친이 “제왕적 운영” 큰반발
당내부 “심사위에서 할일” 새로 선출된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취임 첫날 “계파활동 인사 공천 배제” 발언으로 신고식을 톡톡히 치렀다. 홍 대표는 5일 서울 국립현충원 참배에 앞서 최고위원들과 한 간담회에서 “앞으로 계파활동을 하면 (내년 4월 총선에서) 공천을 안 줄 것”이라며 “오늘 최고위원회에서 계파 해체 결의부터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는 “이(계파 해체)는 국민이 바라는 것이고 국민 보기에도 중요한 일이다. 이를 발빠르게 하는 게 첫번째 과제”라고 덧붙였다. 홍 대표는 전날 전당대회 기자회견에서도 “첫 과제는 계파 타파”라고 말했다. 그러나 홍 대표의 발언은 현충원 참배 뒤 여의도 당사에서 이어진 최고위원회에서 즉각 반발에 부닥쳤다. 친박근혜계인 유승민 최고위원은 비공개 회의에서 “계파 활동을 한다고 공천을 주지 않는다고 하면 나부터 공천이 안 돼야 한다”며 “친박을 했든 친이를 했든 중립을 했든 공천은 공정하게 해야 한다. 계파 활동과 공천을 결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반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홍 대표는 “오해 하지 말라. 너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며 “계파활동에만 전념하면 공천 안 준다는 것”이라고 한발 물러섰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한 최고위원회의 참석자는 “계파 활동에만 전념하는 의원도 있느냐. 홍 대표의 말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당 안에선 홍 대표의 발언이 대표로서 다소 경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영남 중진 의원은 “내년 4월 총선 공천은 당 대표가 주고 안주고 할 문제가 아니라 공천 심사위원회 심사나 상향식 공천을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져야 하는 것”이라며 “당 대표나 지도부가 벌써부터 이를 두고 왈가왈부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다른 한 서울 초선 의원도 “대표가 되고 난 뒤 나온 첫 발언이 마치 자신이 공천을 좌우하겠다 오해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전당 대회에서 세력적 쇠퇴가 확인되면서 영향력을 상실한 친이계는 더욱 거세게 반발했다. 한 초선 의원은 “결국 계파 활동을 하면 공천을 주지않겠다고 하는 것은 의원들 모두를 사실상 홍준표 대표의 계보로 만들겠다는 것 아니냐”고 발끈했다. 또다른 한 친이 초선 의원도 “대표가 공천을 준다, 만다고 하는 발상 자체가 비민주적”이라며 “한나라당이 타파해야 할 것은 독단적 밀실 공천으로 대표되는 제왕적 당 운영”이라고 말했다.
이날 최고위원회는 한나라당의 해묵은 과제인 “계파 해체를 위해서 노력한다”는 원론적인 공감대를 모으는 선에서 끝났다. 그러나 지난 총선에서 ‘공천 학살’의 기억이 또렷하고, 기댈 건 계파라는 의식이 당내에 여전한 탓에 실제 해체까지 이를지는 미지수란 견해가 많다. 한 초선 의원은 “계파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정치에서 있었다”며 “계파 활동이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이 다 있어서 잘 없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친이 “제왕적 운영” 큰반발
당내부 “심사위에서 할일” 새로 선출된 홍준표 한나라당 대표가 취임 첫날 “계파활동 인사 공천 배제” 발언으로 신고식을 톡톡히 치렀다. 홍 대표는 5일 서울 국립현충원 참배에 앞서 최고위원들과 한 간담회에서 “앞으로 계파활동을 하면 (내년 4월 총선에서) 공천을 안 줄 것”이라며 “오늘 최고위원회에서 계파 해체 결의부터 해야할 것”이라고 말했다. 홍 대표는 “이(계파 해체)는 국민이 바라는 것이고 국민 보기에도 중요한 일이다. 이를 발빠르게 하는 게 첫번째 과제”라고 덧붙였다. 홍 대표는 전날 전당대회 기자회견에서도 “첫 과제는 계파 타파”라고 말했다. 그러나 홍 대표의 발언은 현충원 참배 뒤 여의도 당사에서 이어진 최고위원회에서 즉각 반발에 부닥쳤다. 친박근혜계인 유승민 최고위원은 비공개 회의에서 “계파 활동을 한다고 공천을 주지 않는다고 하면 나부터 공천이 안 돼야 한다”며 “친박을 했든 친이를 했든 중립을 했든 공천은 공정하게 해야 한다. 계파 활동과 공천을 결부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반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홍 대표는 “오해 하지 말라. 너무 신경쓰지 않아도 된다”며 “계파활동에만 전념하면 공천 안 준다는 것”이라고 한발 물러섰다고 참석자들이 전했다. 한 최고위원회의 참석자는 “계파 활동에만 전념하는 의원도 있느냐. 홍 대표의 말이 무슨 말인지 잘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당 안에선 홍 대표의 발언이 대표로서 다소 경솔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 영남 중진 의원은 “내년 4월 총선 공천은 당 대표가 주고 안주고 할 문제가 아니라 공천 심사위원회 심사나 상향식 공천을 통해 투명하고 공정하게 이뤄져야 하는 것”이라며 “당 대표나 지도부가 벌써부터 이를 두고 왈가왈부할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다른 한 서울 초선 의원도 “대표가 되고 난 뒤 나온 첫 발언이 마치 자신이 공천을 좌우하겠다 오해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전당 대회에서 세력적 쇠퇴가 확인되면서 영향력을 상실한 친이계는 더욱 거세게 반발했다. 한 초선 의원은 “결국 계파 활동을 하면 공천을 주지않겠다고 하는 것은 의원들 모두를 사실상 홍준표 대표의 계보로 만들겠다는 것 아니냐”고 발끈했다. 또다른 한 친이 초선 의원도 “대표가 공천을 준다, 만다고 하는 발상 자체가 비민주적”이라며 “한나라당이 타파해야 할 것은 독단적 밀실 공천으로 대표되는 제왕적 당 운영”이라고 말했다.
이날 최고위원회는 한나라당의 해묵은 과제인 “계파 해체를 위해서 노력한다”는 원론적인 공감대를 모으는 선에서 끝났다. 그러나 지난 총선에서 ‘공천 학살’의 기억이 또렷하고, 기댈 건 계파라는 의식이 당내에 여전한 탓에 실제 해체까지 이를지는 미지수란 견해가 많다. 한 초선 의원은 “계파는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모든 정치에서 있었다”며 “계파 활동이 부정적인 면과 긍정적인 면이 다 있어서 잘 없어지지 않는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