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대결과 ‘대세론’ 더 탄탄
“새 지도부가 민심 못얻으면
함께 책임지는 상황 올수도”
“새 지도부가 민심 못얻으면
함께 책임지는 상황 올수도”
“약일까, 독일까.”
친박계 유승민 최고위원의 2위 진입과 영남 친박계의 지원을 얻은 홍준표 대표 당선, 친이계의 몰락. 7·4 한나라당 전당대회 결과는 박근혜 전 대표의 영향력을 여실히 입증했지만 동시에 그에게 만만치 않은 부담도 안겼다.
‘박근혜 대세론’을 더욱 공고하게 굳힐 계기를 마련한 점은 적잖은 성과다. 친박계 김태환 의원은 6일 “박 전 대표가 막강한 힘을 표면에 드러내면서 당내 유일 대선 후보로서의 입지를 강화했다”고 말했다. 또다른 친박 의원도 “친박의 힘이 입증되고 친이가 사실상 와해하면서 그간 눈치를 보던 친이계 의원들이 ‘월박(越朴)’할 근거가 생겼다”며 “박 전 대표 쪽으로 쏠림현상이 두드러질 것”이라고 말했다.
새로운 당 지도부가 서민정책과 당내 개혁에 성과를 거둔다면 박 전 대표의 정치적 위상이 더욱 올라가고 지지율이 단단해지는 측면도 있다. 그가 직접 전면에 나서지 않더라도 “박근혜가 나서니 뭔가 달라진다”는 인상을 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당의 개혁적 노선에 힘을 실어주면서 자연스럽게 청와대와 차별화도 꾀할 수 있다.
하지만 여권 내부 영향력 확대에 따른 부담도 적지 않다. 친박계 쪽은 자칫 박 전 대표가 권한은 행사하지도 못한 채 책임만 지게 되는 상황이 올까 우려한다.
한 친박 재선 의원은 “문제는 새 당 지도부가 계속해서 중심을 잡지 못하고 국민의 신뢰를 다시 얻는 데 실패하는 경우”라며 “이러면 박 전 대표가 직접 당 운영에 관여하지 않았는데도 책임은 함께 져야 하는 상황에 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박 전 대표가 너무 일찍 당의 중심에 서게 된 것은 득보다 실이 많을 것이란 말도 나온다.
한 영남 초선 의원은 “그간 박 전 대표 쪽의 전략은 가급적 전면에 나서지 않고 책임지는 걸 피하려는 것이었다”며 “예상보다 빨리 책임을 피할 수 없는 자리에 오른 셈인데 걸맞은 위기관리 능력을 보여주지 못한다면 점수가 깎일 것”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