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에 지더라도 총선서 견제심리 발동” 기대
홍준표 등 지도부 “야권단일화 기회만 줘” 반대
홍준표 등 지도부 “야권단일화 기회만 줘” 반대
“이미 대다수 서울 지역 한나라당 의원들의 뜻은 오세훈 서울시장 조기사퇴로 기울었다.”(한 서울 초선 의원)
무상급식 주민투표에서 패배한 오세훈 서울시장의 사퇴 시점을 둘러싼 한나라당 내부 논란이 조기 사퇴 쪽으로 기울었다. 홍준표 대표와 황우여 원내대표 등 일부 지도부가 ‘조기 사퇴는 절대 안 된다’는 강경한 태도를 보이고 있지만 대세를 되돌리긴 어려워 보인다.
무엇보다 내년 총선에 대한 위기감이 크다. 한 초선 의원은 “내년 4월 총선과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함께 치러지면 총선 자체가 ‘오세훈 심판’ 선거로 흘러 모두 공멸할 수 있다”며 “10월에 보궐선거를 치러야 총선까지 남은 6개월 동안 민심을 회복할 시간이라도 벌 수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의원은 “오 시장 사퇴가 늦어질수록 당은 계속 오세훈이라는 감점 요인을 안고 가게 된다”고 말했다.
최근 선거에서 나타난 민심의 ‘견제투표 경향’을 근거로 드는 의원들도 있다. 한 중진 의원은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치러지면 여권이 완패하더라도 총선에서는 보수층 결속과 중도층의 야당 견제 심리가 발동할 수 있다”며 “이러면 4월 총선에 희망을 걸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에선 10월 보궐선거를 해볼 만하다는 주장도 있다. 이번 주민투표에서 패배한 보수층이 10월 보궐선거에서 더욱 결집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한 의원은 “휴일이고 일방적인 야당의 투표불참운동 속에서도 이 정도 투표율이 나온 것은 보궐선거를 해도 후보만 잘 내세우면 승산이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오 시장이 사퇴를 미루는 건 말이 안 된다는 명분론도 있다. 한 의원은 “오 시장이 더 버티는 것은 구차하다. 본인을 위해서나 당을 위해서나 빨리 사퇴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형오 전 국회의장도 이날 트위터에 “오 시장을 구차하게 살리려 한다면 그도 죽고 보수도 죽는다“고 글을 올렸다.
하지만 홍준표 대표와 일부 서울지역 의원들은 여전히 오 시장의 조기 사퇴는 불가하다는 태도다. 홍 대표 쪽은 “10월 서울시장 보궐선거를 치르면 내년 총선에 앞서 야권후보단일화의 기회를 열어주고 승산도 높지 않다”고 말했다. 서울시당 위원장인 이종구 의원과 여의도 연구소장인 정두언 의원은 “주민투표 무산 탓에 서울 시민들이 투표에 심한 피로감과 정치 혐오증을 느끼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한나라당 출신인 오 시장의 사퇴로 다시 선거가 치러지면 어렵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