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지난 18일 오후 국회도서관 대강당에서 열린 친박계 재외국민 조직 ‘대한국포럼’ 출범식에 참석하고 있다. 김명진 기자 littleprince@hani.co.kr
보선지원 끌어내기 고심
“직책 제의해 명분 주자”
“후보 선정 교감” 의견도
“직책 제의해 명분 주자”
“후보 선정 교감” 의견도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가 판이 커진 10·26 재보선의 선거대책위원장이나 고문을 맡게 될까?
총력전 채비에 나선 한나라당이 박 전 대표를 선거판에 끌어내기 위한 묘책 찾기에 분주하다. 당 재보선기획단(단장 김정권 사무총장)의 30일 첫 회의에서 이 문제가 집중 거론됐다고 한다. 한 참석자는 “박 전 대표가 반드시 서울시장 보궐선거 지원에 나설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이야기가 많았다”며 “방법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당으로선 서울시장 보선을 이기려면 박 전 대표의 지원이 절실한 상황이다. 박 전 대표 역시 서울시 무상급식 주민투표에 거리를 둬 강경보수층의 비판을 받은 터라 당이 명분을 마련해주면 마냥 거부하기 어려운 처지다.
당 안에선 박 전 대표에게 선거대책기구의 위원장이나 고문 등 일정한 직책을 맡기는 게 어떻겠느냐는 의견이 나온다. 한 당직자는 “박 전 대표는 ‘선거는 당을 책임지는 사람들이 이끌어가는 것’이라는 논리로 재보선 유세에 나서지 않았다”며 “그에게 나설 명분을 터주려면 선대위원장 등 일정한 직책을 맡겨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전 대표에게 명분을 만들어줘야 한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지난 4·27 재보선 때 당 평창겨울올림픽유치특위 고문을 맡아 수차례 강원 지역을 방문하며 사실상 강원지사 선거를 측면지원한 바 있다.
친박계 일부 의원들은 박 전 대표가 일정한 직책을 맡아 선거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뜻을 박 전 대표에게 건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 친박 의원은 “당내 인사만 참여한 선대위가 아니라 외부 인사도 참여하는 새로운 형태의 선대위를 꾸리면 박 전 대표도 참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날 기획단 회의에선 후보 결정 과정에서부터 박 전 대표와 충분히 교감해야 그의 지원을 이끌어내는 데 수월할 것이라는 의견도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 참석자는 “중요한 것은 후보와 박 전 대표가 복지정책 등에서 호흡이 맞아야 한다는 것”이라며 “후보가 결정된 뒤에 가서 박 전 대표에게 무작정 도와달라고 할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검찰, 곽노현 부인 불러 ‘3천만원 인출’ 캐기로
■ 안중근 찬양하고 조선 독립을 외친 일본인
■ “목사인데 정치하려는 건 사탄과 싸우기 위해”
■ 삼성, 퇴직뒤 3년내 암 걸리면 치료비 지원
■ 교통사고 발생률 1위인 지역은…
■ 안중근 찬양하고 조선 독립을 외친 일본인
■ “목사인데 정치하려는 건 사탄과 싸우기 위해”
■ 삼성, 퇴직뒤 3년내 암 걸리면 치료비 지원
■ 교통사고 발생률 1위인 지역은…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