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예산·쇄신 문제 등
박근혜, 전면 안나서면서
당에 막강한 영향력 행사
의사결정시스템 왜곡시켜
수렴청정·막후정치 비판
박근혜, 전면 안나서면서
당에 막강한 영향력 행사
의사결정시스템 왜곡시켜
수렴청정·막후정치 비판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막후’ 행보에 관한 비판이 한나라당 안에서 터져나오고 있다. 당에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면서도 정작 본인은 나서지도 책임지지도 않으려는 모습을 보이면서 당의 공적 의사결정 구조가 무너지고 있다는 것이다.
박 전 대표는 지난 29일 열린 당의 쇄신 연찬회에 종합편성채널 인터뷰 등 개인 일정을 이유로 나타나지 않았다. 그는 이날 홍준표 대표가 “박 전 대표가 대표직에 복귀해 쇄신과 총선을 지휘해야 한다는 것으로 결정이 되면 대표직에서 물러나겠다”고 했지만 어떤 반응도 내놓지 않았다. 침묵 속에 그가 극도로 꺼리는 것으로 알려진 ‘박근혜 조기 등판론’은 자연스럽게 사그라졌다. 당내 한 중진 의원은 “(대표직을 유지하려는) 홍 대표와 공천과 총선 부담을 피하려는 박 전 대표가 테이블 밑에서 손을 잡고 담합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박 전 대표가 국회와 당의 공식적인 의사소통 절차를 왜곡하고 있다는 주장도 공개적으로 제기됐다. 박 전 대표는 지난 21일 대학생 간담회에서 “제가 직접 챙길 게 있다”며 자신이 강조해온 취업활동수당 신설, 근로장려세제(EITC) 강화, 저소득층 사회보험료 지원 확대 등과 관련한 예산을 당이 챙겨야 한다는 ‘신호’를 줬다. 21일은 국회가 내년 예산에 관한 상임위 심의를 마치고 막바지 계수조정위원회를 가동한 시점이었다. 박 전 대표의 한 측근은 “홍 대표가 정부에 박 전 대표의 주장을 포함한 당의 민생예산 요구를 강력히 해 확실한 답을 받아와야 한다”고 압박했다. 이에 한 당직자는 “당 대표를 지냈고 누구보다 예산 심의 과정을 잘 아는 박 전 대표가 상임위 심의는 무시하고 자신이 주장한 예산을 챙겨야 한다는 식으로 말할 수 있는지 이해하기 어렵다. 너무 오만한 것 아니냐”고 말했다.
정몽준 전 대표는 30일 최고중진 연석회의에서 “일부 의원이 반대한다는 의견이 나오자 당에 혼선이 일어나고 있다”며 “이는 당내 (의사결정) 시스템의 문제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한 의원은 “자신이 강조하는 민생예산은 증액하라면서 부자증세는 반대한다고 한다. 그러면서도 재정건전성을 강조하는데 그럼 세금은 어디서 나오느냐”고 말했다. 한 당직자는 “수렴청정은 폐쇄성과 권위주의로 이어지고, 이는 시대적 요구와 맞지 않는다”고 말해, 당이 사실상 박 전 대표의 비공식적 의사결정에 좌지우지되고 있음을 지적했다.
이날 원희룡 최고위원과 정두언 의원은 박 전 대표의 행보를 강력히 비판했다. 원 최고위원은 기자회견에서 “계파 기득권 등 현상 유지를 하면서 ‘제가 하면 국정운영을 잘할 수 있어요’라고 하는 것은 작은 정치”라며 “시간을 더 놓치기 전에 박 전 대표가 전면 승부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정 의원도 <시비에스> 인터뷰에서 “지도자는 책임을 지는 사람인데 이를 회피하고 외면하면 비겁한 것”이라고 꼬집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