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이 17일 의원총회 논의 끝에 여론조사를 통한 지역구 의원 25% 교체로 가닥을 잡음에 따라 공천 심의 과정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한나라당은 ‘아무개 의원이 다시 뽑히는 게 좋은가’라는 교체지수를 묻는 여론조사와 ‘내일 투표일이라면 누구에게 투표하겠느냐’는 경쟁력 지수를 묻는 여론조사를 각각 50%씩 반영해 지역구 의원을 교체할 방침이다. 구체적인 문구 작성과 여론조사 기관 선정, 조사 기간 등은 당 부속 여의도연구소가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당 안에선 이런 공천 심의 기준을 적용하는데 현실적으로 무리가 있을 것이란 우려가 적지 않다. 박민식 의원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 인터뷰에서 “지역구의 특성을 고려하는 맞춤형 공천이 되어야지 여론조사를 맹신해선 안 된다”고 말했다. 한 서울 의원은 “정치 불신 탓에 거의 모든 현역의원들이 교체지수가 높을 텐데 이게 변별력이 얼마나 있을지 의문”이라고 말했다.
136개에 이르는 현역 의원 지역구를 모두 복수의 여론조사기관에 맡겨 여론조사를 하는데 드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당내에선 당이 이를 감당해 낼 여력이 있는지 의문이라는 의견이 많다. 경선도 거치지 않은 채 공천에서 배제될 30여명의 현역 의원들이 집단적으로 박세일 신당이나 무소속으로 출마하는 상황도 걱정하고 있다.
공천 작업을 주도하며 칼을 휘두를 공천심사위원회의 면면에 현역 의원들은 깊은 관심을 쏟고 있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은 주변에서 공심위원 추천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비대위원장이 “외부 인사일 가능성이 크다”고 밝힌 공심위원장으로는 송복(75) 연세대 명예교수의 이름도 거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송 교수가 강경 보수 성향이어서 부적절하다는 당 안팎의 평가가 적지 않다. 박 위원장은 비대위원의 공심위 참여 여부에 관해 “아직 결정이 안 됐다”고 했는데 당헌당규엔 “최고위원(현재 비대위원)은 공심위원을 겸할 수 없다”고 돼 있다. 한나라당은 지난 18대 총선 공심위를 외부위원 6명을 포함해 11명으로 구성했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