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위원장 ‘당명변경’ 언급
박근혜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장이 17일 당명 개정 가능성을 언급한 것은 거듭된 비대위 흔들기를 막고 당내 불협화음을 해소하려는 차원으로 보인다.
박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 10여분간의 마무리 발언 대부분을 “사람은 줏대가 있어야 한다”는 표현까지 하며 쇄신파와 친이계 일부가 주장하는 당 해체나 재창당 불가론에 할애한 뒤 후반부에 당명 개정 가능성을 꺼냈다. 2008년 전당대회 돈봉투 파문 뒤 다시 부활한 재창당 요구엔 분명한 선을 그으면서도 ‘정 그렇다면 당명은 바꿀 수 있다’는 여지를 던진 것이다. 한 서울 초선 의원은 “돈봉투 사건 뒤 쇄신파나 친이 일부에서 워낙 강하게 재창당 주장이 나오니까 박 위원장도 이를 의식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라며 “재창당은 양보 못한다고 하는 대신 당명 변경 정도는 가능하다고 한 것”이라고 말했다. 생사가 걸린 총선 앞에서 ‘재창당’ 등 뭐든 새것이 아니면 살아남을 수 없다는 의원들의 절박함을 어떻게든 충족하지 않으면 비대위도 목적을 이루기 어렵다는 판단을 했다는 것이다. 박 위원장의 한 참모는 “당명 변경이 아닌 재창당을 하면 자연스레 대통령 탈당으로 이어지고 결국 친이계와 분열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이를 당명 개정 정도로 봉합해 가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아울러 박 위원장은 인적 쇄신과 정책 쇄신을 마무리한 뒤엔 당명을 바꾸는 것이 간판만 바꾸는 게 아니라고 스스로 논리를 정리한 것 같다. 한 측근은 “결국 당명 개정은 순서의 문제였다”며 “현역 의원 물갈이와 새 인물 영입으로 인적 쇄신을 하고 2월께 정책 쇄신을 해 실질적인 당의 체질을 바꾸고 나면 당명을 바꾸는 것이 쇼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또다른 한 의원은 “지금 한나라당이란 이름은 너무 오염됐다는 인식이 강해서 새 상품을 업그레이드해서 내놔도 쳐다보지 않을 테니 모델 이름을 바꾸자는 것 아니겠느냐”고 말했다. 김종인 비대위원을 비롯한 다수 비대위원들이 “브랜드는 바꿔야 한다”는 주장을 해온 것도 박 위원장의 생각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
박 위원장은 지난해 연말께 당명 변경에 관한 준비를 지시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권영세 사무총장은 “(지난해 12월30일) 사무총장에 임명된 직후 박 위원장이 만일의 경우에 대비해 당명 변경에 관한 것을 검토해보라고 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의 한 참모도 “박 위원장의 보좌진들이 실무작업을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위원장은 지난해 12월14일 남경필 의원 등 쇄신파 의원과의 회동 당시 “비대위 활동으로 국민의 신뢰를 얻으면 당명을 바꾸는 것도 이해할 것이고 그때가 되면 그것도 논의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일단 쇄신파와 친이계는 지켜보겠다는 태도다. 한 쇄신파 의원은 “박 위원장이 그렇게 진정성을 갖고 가겠다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한 서울 친이계 의원은 “당명 변경에 찬성이다. 내용도 같이 바꿨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부에선 “이미 국민들은 한나라당 자체에 관심이 없다”며 별로 기대할 게 없다는 반응도 나왔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