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몽준·김문수 ‘책임총리제’ 꺼내
이재오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을”
이재오 “분권형 대통령제 도입을”
새누리당 ‘비박(非朴)’ 대선 주자들이 일제히 ‘대통령 권한 분산’을 주장하고 나섰다. 정치개혁 구상을 밝히면서 박근혜 비상대책위원장도 견제하는 이중포석이란 평이 나온다.
정몽준 전 대표는 13일 여의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제왕적 대통령 자리를 놓고 여야가 ‘전부 아니면 전무’ 식의 경쟁을 하다 보니 극한투쟁으로 갈 수밖에 없다”며 “(대통령이 된다면) 대통령의 권한을 국회로 분산시키고 국정운영을 투명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역대 대통령이 관행적으로 무시해온 국무총리의 장관임명 제청권을 반드시 보장하고 국회 상임위원회 의결을 거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재오 의원도 14일 국회에서 토론회를 열어 대통령의 권력 분산을 위한 4년 중임 분권형 대통령제 개헌을 주장할 예정이다. 이 의원은 지난 10일 “대통령은 외교, 국방, 통일 등의 권한을 갖고, 국내 정치는 총리가 맡아 행정권력을 분점하고 책임을 나눠야 한다”고 말했다. 김문수 경기지사 역시 책임 총리제 도입과 대통령 비서실 권한 축소 등을 주장했다.
친박근혜계의 반응은 시큰둥하다. 한 친박 재선 의원은 “실현하기 어려운 이야기를 해서 박 위원장이 부정적인 뜻을 보이면 기득권을 놓으려 하지 않는다고 흠집내려는 의도 아니겠느냐”며 “어차피 자신들이 (후보가) 되지 않을 거 같으니까 박 위원장에게 재나 뿌리자는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또다른 한 측근 의원은 “자신의 정견을 이야기하는 것에 따로 가타부타할 게 없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