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김종인 전 비대위원장 조기합류
경제민주화 등 정책 핵심 맡을듯
홍사덕과 공동선대본부장 가능성
“친박 일색으로 짜여지지 않을 것”
경제민주화 등 정책 핵심 맡을듯
홍사덕과 공동선대본부장 가능성
“친박 일색으로 짜여지지 않을 것”
‘박근혜 경선캠프’가 새누리당 당내 경선보다는 12월에 있을 본선에 초점을 둔 체제로 짜이고 있다. 본선 때 합류할 것으로 예상됐던 김종인 전 비상대책위원의 경선 캠프 조기 합류 기류가 그 신호다.
■ 김종인 합류시켜 대선 정책 선점 박 의원 캠프의 선거대책위원장으로 거론되는 홍사덕 전 의원은 28일 “김종인 전 비대위원이 캠프에 참여한다면 그림이 좋지 않으냐”고 말했다. 그는 “박 전 위원장이 이미 복지 깃발은 선점한 상태고, 이제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이게 경제민주화 깃발인데 경제민주화의 상징인 김 전 비대위원이 (캠프에) 있으면 야권이 아무리 경제민주화를 외쳐도 어찌할 방법이 없지 않겠느냐”며 그 이유를 설명했다. 박근혜 의원 쪽이 대선을 겨냥해 더 강도 높은 경제민주화 정책을 준비할 것이란 암시도 들어 있다.
김 전 비대위원은 박근혜 의원이 주최해 홍사덕, 최경환 의원 등 핵심측근들이 참여하는 캠프 준비 회의에도 최근부터 참여해 온 것으로 알려졌다.
김 전 비대위원은 이날 캠프 합류에 관해 “지금 확정적으로 말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 친박 인사는 “캠프에서 그가 어떤 직책을 맡을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마지막 인사는 박 전 위원장이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선 호오가 분명한 김 전 비대위원의 캠프 참여가 분란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을 우려하기도 한다. 한 친박 참모는 “김 전 비대위원이 기존 친박 실세, 핵심 의원들과 불필요한 내부 파워 게임에 휘말릴 수 있다”고 말했다.
그가 캠프에 합류한다면 홍 전 의원과 공동선대위원장을 맡을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홍 전 의원은 정무를 총괄하고 김 전 비대위원이 정책을 맡는 ‘투톱’ 체제로 캠프 가닥이 잡힌다는 것이다. 친박 주변에선 김 전 비대위원이 경제민주화나 양극화 해소 등에 초점을 맞춘 정책에서 핵심적인 구실을 할 것이라는 데엔 이견이 없다. 초기부터 대선에 맞춘 정책 개발에 역량을 집중할 것이란 설명이다.
캠프는 본선에 초점을 맞춰 박 의원의 안정감과 국정운영 능력을 부각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한 친박 참모는 “정몽준, 이재오, 김문수 등 비박 주자들의 반발과 불참 선언 등으로 사실상 무의미해진 경선보다는 본선에 초점을 두고 전략을 짜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참모는 “캠프는 박 전 위원장이 다른 후보들보다 비교우위에 있다고 여겨지는 국정운영 능력과 안정감 있는 리더십을 알리는 데 초점을 둘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 캠프 면면은? 7월 초로 예상되는 경선 캠프에는 최경환, 유정복, 홍문종 의원 등도 핵심 구실을 할 것으로 알려졌다. 2007년 박 의원 캠프에서 종합상황 실장을 맡았던 최 의원은 캠프를 조율하는 총괄 본부장이 유력하다. 마당발로 알려진 홍문종 의원은 조직 전반을 총괄하고, 비서실장을 지낸 유정복 의원은 각종 직능단체를 아우르는 일을 맡을 것으로 보인다. 경선과 본선 과정에서 당 내부와 야당의 검증 공세에 대비해선 국정원 근무 경험이 있는 권영세 전 의원과 국정원 2차장을 지낸 김회선 의원이 캠프와 별도로 외부에 팀을 꾸려 활동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공보는 당 대변인을 지낸 윤상현 의원과 총선 선거대책위원회 대변인을 지낸 이상일 의원 등이 유력하다. 한 친박 참모는 “박 전 위원장의 현장 방문을 수행하고 각종 사안에 관한 논평을 하려면 두 명 이상의 대변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박 의원의 회관 보좌관들도 실무에서 중추 구실을 할 전망이다. 이 밖에도 홍보와 메시지, 일정 업무를 맡아 마포와 여의도 등지에서 일을 해온 외곽 특보 그룹의 합류도 예상된다.
친박 색채가 엷은 전직 의원과 외부 인사의 합류도 점쳐지고 있다. 한 친박 의원은 “캠프가 친박 일색으로 짜이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당 주변에선 지난 총선에서 낙선한 비박계인 권영진, 이범래, 조윤선 전 의원 등이 참여할 것이란 말이 있다.
대선 출마 선언 장소로는 역사적 의미가 있는 곳이나 젊은 층이 많은 서울 대학로 마로니에공원, 지역균형발전의 의지를 담은 세종시 등이 거론되지만, ‘쇼’를 꺼리는 박 의원의 스타일 탓에 국회 등 무난한 장소에서 이뤄질 것이란 전망이 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MB, 가뭄 해결은 무조건 4대강?
■ “MB정부 ‘뼛속까지 친일’ 확인 일본 군국주의 부활 부추긴다”
■ ‘친노 불가론’서 ‘자질 부족론’까지…문재인만 때리기
■ 매일 민통선 넘나드는 지성이의 사연
■ 팝스타에 푹 빠진 소녀들…“뇌 때문”
■ MB, 가뭄 해결은 무조건 4대강?
■ “MB정부 ‘뼛속까지 친일’ 확인 일본 군국주의 부활 부추긴다”
■ ‘친노 불가론’서 ‘자질 부족론’까지…문재인만 때리기
■ 매일 민통선 넘나드는 지성이의 사연
■ 팝스타에 푹 빠진 소녀들…“뇌 때문”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