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원내지도부로 선출될 때 함께 짝을 이뤘던 이한구 원내대표와 진영(사진) 정책위의장이 정두언 사태에 대한 책임에 대해선 선택을 서로 달리했다. 지난 11일 정두언 의원 체포 동의안 이 부결된 뒤 “책임을 지겠다”며 사퇴했던 두 사람 가운데 이 원내대표는 16일 사의를 번복하고 복귀했지만 진 정책위의장은 사퇴 뜻을 굽히지 않았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와 의원총회에서 “당의 이름으로 다시 복귀하라는 명령이 있어 부득이 뱉은 말을 지킬 수 없게 된데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국회 교섭단체대표 연설에서 “국회쇄신은 국가 쇄신의 출발점”이라며 국회 폭력 가중처벌, 본회의 출석 의무화, 법사위의 체계·자구 수정권 폐지 등을 이행하겠다고 했다. 그는 지난 12일까지 박근혜 후보 쪽이 사퇴를 만류하자 “이는 사태를 안이하게 보는 것”이라며 사퇴를 고집했었다. 그러나 결국 “(임시국회가) 얼마 남지 않았는데 (사퇴는) 책임을 다 못하는 것”이라는 박근혜 후보의 말을 그대로 따른 셈이 됐다.
이 원내대표의 러닝메이트인 진영 정책위의장은 자신의 말을 지켰다. 진 의장은 “책임지고 사퇴를 하겠다고 했고 상황을 뒤집을 아무런 이유가 없다”며 “사퇴하는 것이 정도(正道)”라고 말했다. 진 의원은 박근혜 후보 등의 거듭된 만류도 뿌리친 것으로 알려졌다.
당의 정책을 책임지는 진 의장의 사퇴는 이한구 원내대표의 거취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9월 정기국회를 정책위의장 없이 치르긴 힘든 탓이다. 이한구 원내대표도 이런 탓인지 언제까지 직을 수행하겠다는 말은 하지 않았다. 박근혜 후보 쪽은 친박계인 이 원내대표가 1년 임기를 마쳐주길 바라는 분위기라, 정책위의장만 새로 뽑는 ‘반쪽’ 당직 선거가 치러질 수도 있다.
한 새누리당 당직자는 “책임을 지고 물러난다고 한 원내대표가 번복하는 것은 결국 책임을 지지 않는 것으로 당을 두번 죽이는 것”이라며 “국민은 이를 꼼수나 쇼로 볼 것”이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