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9월까지 임기보장
당대표 권한 강화 예고
당대표 권한 강화 예고
민주통합당이 늦어도 4월까지 임시 전당대회를 열어 당대표와 지도부를 각각 선출한다. 민주당 전당대회준비위원회는 6일 회의를 열어 당대표와 최고위원을 따로 뽑는 단일성 집단체제의 방식으로 내년 9월까지 임기를 보장하는 지도부 선출 방식을 결정했다.
김성곤 전대준비위원장은 브리핑을 통해 “이번 민주당 전당대회는 임시 전국대의원대회로 개최한다. 그 시기는 3월 말 내지 4월 초로 한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 정기 전국대의원대회는 2014년 9월 말 이전에 한다. 이번에 뽑히는 새 지도부는 내년 지방선거까지 관장을 하게 된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지도체제는 단일성 집단체제로 해서 당대표에게 더욱 많은 권한을 위임하도록 했다”고 덧붙였다. 단일성 집단지도체제는 득표 1위가 당대표가 되는 현재 제도와 달리 당대표와 최고위원들을 따로 선출하면서 대표에게 더욱 많은 권한을 위임하게 된다.
이런 내용은 전당대회준비위 차원의 결론으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거쳐 당무위원회에서 당헌·당규 개정사항을 의결하면 최종 확정된다. 구체적인 임시 전당대회 날짜는 기획분과위원회 논의를 거친 뒤 다음주 결론이 날 것으로 보인다.
조기 임시 전당대회 개최와 내년 지방선거 권한 부여 등은 전당대회 규칙을 둘러싼 계파간 이해를 조율한 결과지만 당내에서는 여전히 갈등의 불씨를 안고 있다. 지난 2일부터 이틀간 열린 민주당 워크숍에서는 원칙대로 정기 전당대회를 개최해야 한다는 의견이 적지 않았다. 하지만 정기 전당대회를 하게 되면 현재 지역위원장, 시·도 당 위원장 등을 모두 교체해야 하고 실무적인 차원에서 무리라는 의견이 비등했다. 여기에 당의 주류가 전면에 등장하기에는 대선 패배 책임이라는 짐이 부담스럽다는 점, 올해 4월, 10월 재보궐선거 등에서 승리를 점치기 어렵다는 점 또한 고려됐다. 비주류 쪽에서도 지역위원장과 시·도 당 위원장 등을 따로 뽑아야 하는 정기 전당대회와 달리 현재대로 경선을 치르면 상대적으로 유리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절충안에 동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장 뜨거운 쟁점이 되고 있는 모바일 투표에 대해서는 이번 회의에서 논의하지 않았다. 김 위원장은 “다음주 수요일(13일)에 모바일 등에 대해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어영 기자 haha@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박근혜 “표결 이뤄지는 국회돼야”…버티는 이동흡에 힘싣기
■ 멋쟁이 여동생 같은 친퀘첸토 소형차 시장 흔들까
■ 국정원, 임금소송 낸 퇴직 여직원들 고발
■ “류현진, 올 시즌 11승 올릴 것”
■ [화보] 연아와 함께한 ‘평창 스타일’
■ 박근혜 “표결 이뤄지는 국회돼야”…버티는 이동흡에 힘싣기
■ 멋쟁이 여동생 같은 친퀘첸토 소형차 시장 흔들까
■ 국정원, 임금소송 낸 퇴직 여직원들 고발
■ “류현진, 올 시즌 11승 올릴 것”
■ [화보] 연아와 함께한 ‘평창 스타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