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현 의원 주장…“본부장 전결”
“개인 차원의 일로 축소 의심”
“개인 차원의 일로 축소 의심”
박근혜 대통령의 중국 방문(6월27일)을 사흘 앞둔 시점에 대통령 전용기 관련 업무를 맡고 있던 국방부 소속 군사외교관이 음주 교통사고를 낸 사실이 3일 뒤늦게 드러났다. 그러나 사고 뒤처리는 국방정보본부장 전결로 이뤄져 지휘계통인 국방부에 보고조차 되지 않았고, 주중대사관도 조사를 하지 않아 박 대통령의 방중 효과가 희석될 것을 우려해 은폐한 게 아니냐는 의심을 사고 있다.
국회 정보위원회 소속 김현 민주당 의원은 오후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이런 의혹을 제기했다. 이 군사외교관은 권영세 주중대사가 지시한 비상근무 기간인 지난 6월24일 저녁 3시간가량 술을 마신 뒤 자신의 차를 몰고 가다 도로 경계석을 들이받는 사고를 내고도 이를 상부에 보고하지 않았다. 그 뒤 기무보좌관이 보험회사 직원 등에게서 사건을 인지해 7월16~19일 국방정보본부 감찰실에서 조사가 진행됐고, 그 결과 이 군사외교관은 복종의무 위반 혐의로 보직해임된 뒤 한국으로 소환됐다.
국방정보본부의 감찰보고서는 “VIP(브이아이피) 전용기 담당(부) 임무를 맡고 있었는데 음주운전을 하였다는 것은 납득할 수 없는 행동으로 만약 언론에 보도되었다면 미국에서 발생한 ‘윤창중 대변인’ 수준으로 방중 효과에 상당히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중대한 일로 생각만 해도 아찔하다고 함”이라고 적혀 있다고 김 의원은 전했다.
그럼에도 일련의 조처는 국방부 보고나 주중대사관 조사 없이 모두 국방정보본부장 전결로 이뤄졌다. 김 의원은 “국방정보본부가 사건을 개인 차원의 일로 축소하려는 것 아니었는지 합리적 의심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조혜정 기자 zest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