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 새누리당 대표가 30일 오후 ‘안심번호를 활용한 국민공천제’에 대해 논의하려고 열린 의원총회에서 생각에 잠겨 있다. 이정우 선임기자 woo@hani.co.kr
여야 당대표의 ‘부산 회동’ 결과를 두고 새누리당의 친박근혜계(친박계) 의원들은 30일 하루 종일 김무성 대표를 거세게 몰아붙였다.
이날 오전 최고위원·중진의원 연석회의는 30분가량 늦게 시작됐다. 회의 직전 비공개 자리에서 이인제·이정현 최고위원 등 범박계 최고위원들이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해 “당내 논의 과정이 전혀 없었다”며 강하게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양당 대표 합의가 아니라 하나의 의견 제시”라며 한발 물러서면서도 “공천권을 국민에게 돌려드려야 하는 취지를 살려야 한다”고 말해 뜻을 완전히 굽히진 않았다.
지도부는 이날 비공개 공식회의에서도 1시간 넘게 격론을 벌인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우 수석대변인은 회의 뒤 “‘안심번호제든 뭐든 이런 것(오픈프라이머리 대안)을 논의하는 당 특별기구가 만들어지는 게 좋겠다’는 큰 차원에서 의견이 모아졌다”고 밝혔다.
그러나 이후에도 친박의 공세는 사그라들지 않았다. 청와대가 안심번호 국민공천제를 겨냥해 정면비판하던 시각, 친박계 좌장 격인 서청원 최고위원과 김태환·서상기·정우택·홍문종 의원(3선), 노철래·조원진 의원(재선)은 긴급 오찬 회동을 열어 김 대표를 압박했다. 한 참석자는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가 어렵게 됐으니 당 기구를 구성해 여러 안을 검토해야지, 하나를 무리하게 추진해선 안 된다는 쪽으로 의견을 모았다. 김 대표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겠느냐”고 말해 사실상 ‘안심번호 국민공천제’에 대한 반대를 분명히 했다.
김 대표가 ‘정치생명을 걸고 관철시키겠다’고 공언했던 오픈프라이머리 추진에 대한 ‘포기 선언’을 분명하게 한 뒤 당 특별기구에서 청와대가 사실상 요구하고 있는 전략공천제 등을 논의하자는 것이 친박 쪽의 주장으로 해석된다. 조원진 원내수석부대표는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당론으로 정해진 오픈프라이머리와 (당론이 아닌) 안심번호를 붙여 ‘안심번호식 공천제’라고 하는 건 안 맞는 이야기”라며 “당에서 당대표에게 그런 권한을 주지 않았다”고 말했다. 김태흠 의원도 보도자료를 내어 “민주 정당에서 당내 논의 절차를 거치지 않은 안을 대표가 독단적으로 졸속 합의하는 것은 민주적 기본질서를 외면한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반면, 비박계 홍일표 의원은 <문화방송>(MBC) 라디오 인터뷰에서 “완전국민경선제는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었는데 여론조사 범위를 넓혀 모든 국민에게 (조사를) 확대한다면 결국 참여율도 높아지고 실질적으로 (오픈프라이머리) 취지가 동일하게 구현될 수 있다”며 “안심번호 공천제라는 게 야당의 전유물이 아니고 이미 새누리당에서도 100% 여론조사 경선으로 (의원 후보자를) 결정한 적이 있다”고 반박했다.
서보미 기자
spr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