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전국위 추인…출범부터 삐걱
원 “비대위장으로 전당대회 치러”
당내 “새 원내대표 맡아야” 반박
유승민 등 탈당 당선자 복당 미룰 뜻
“충분히 토론해야”에 비박계 반발
비대위 구성도 ‘중립성’ 시비 예고
원 “비대위장으로 전당대회 치러”
당내 “새 원내대표 맡아야” 반박
유승민 등 탈당 당선자 복당 미룰 뜻
“충분히 토론해야”에 비박계 반발
비대위 구성도 ‘중립성’ 시비 예고
새누리당이 당내 반대론을 뚫고 오는 22일 전국위원회에서 ‘원유철 비상대책위원장 체제’를 출범시키더라도, 곳곳에서 난관에 마주할 것으로 보인다. 원 원내대표는 이날 “총대를 멜 수밖에 없다”며 당내 반발을 일축했다.
■ ‘원유철 비대위원장’ 임기는? 가장 논란이 되는 부분은 원유철 원내대표가 언제까지 비대위원장직을 수행할 것인지다. 당내에선 다음달 새 원내대표가 뽑히면 바로 비대위원장직을 넘겨줘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 총선 참패 책임을 져야 할 인물이 비대위원장을 맡는 건 부적절하다는 논리다. 한 친박계 중진의원은 18일 “새 원내대표가 뽑히면 당연히 그 사람이 비대위원장직을 맡아야 한다”고 말했다. 전날 김세연·이학재·황영철 의원 등도 성명에서 “새 원내대표를 최단기간 내에 선출해 비대위원장을 맡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들을 포함해 김영우·하태경·박인숙 의원 등 원유철 비대위에 반대하는 의원들은 18일 밤 국회 의원회관에서 이런 뜻을 거듭 확인했다.
그러나 원 원내대표는 전당대회까지 비대위원장을 맡겠다는 생각이다. 그는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당헌·당규상 새 원내대표가 5월에 뽑힌 뒤 비대위원장이 되려면 최고위원회 의결을 거친 뒤 전국위에서 추인을 받아야 한다. 최고위가 와해된 지금 상황에선 불가능한 이야기”라며 “새 원내대표가 뽑히면 당연직 비대위원으로 비대위에 참여하면 된다”고 말했다. 다음달 새 원내대표가 선출되더라도 자신이 비대위원장으로서 전당대회 관리까지 마무리하겠다는 뜻이다. 원 원내대표는 이날 원내부대표단과의 점심 자리에서도 “비대위원장을 맡지 않으려 했으나 그렇게 되면 모든 게 올스톱돼 총대를 멜 수밖에 없었다. 내가 멍에를 쓰고 가야 할 판이다”라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 비대위 중립성 시비 끝날까? 비대위는 6월께 당 대표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를 관리해야 하기 때문에 ‘중립성’ 시비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 원 원내대표는 이날 통화에서 “비대위는 10명 이내로 구성할 것이고 외부 인사는 2~3인 정도가 포함될 것 같다”며 “외부인사는 계파에 치우치지 않고 국민의 눈높이에 맞춰 새누리당에 쓴소리를 할 인물을 모셔오겠다”고 말했다. 당내에선 정운천 당선자 등이 위원으로 거론된다. 하지만 당내 비박계는 이미 ‘신박’ 선언을 하며 공천 기간 동안 친박과 보조를 맞춰온 그가 중립적인 비대위를 꾸릴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한 새누리당 관계자는 “원 원내대표가 친박계에 기대 비대위원장에 추대된데다 정치적인 영향력 크지 않다. 친박의 눈치를 보지 않고 비대위원을 꾸릴 것이라고 기대하는 자체가 어불성설이다”라고 말했다.
■ 무소속 복당은 장기화 기류 유승민·윤상현 의원 등 탈당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는 장기화할 조짐이다. 원 원내대표는 “지금 복당 문제를 다룰 계제가 아니다. 비대위에서 이 문제를 결론 내릴 생각이 없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 당내에서 “복당을 서둘러 인위적으로 1당이 되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는 것과 무관하지 않다. 그러나 비박계 한켠에서는 “친박계가 무소속 탈당자들의 복당을 최대한 늦추고 당권 경쟁도 이들이 없는 상태에서 하려 한다”는 의구심이 강해 여전히 불씨가 될 가능성이 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