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언론인 간담회
여당 공천파동 책임 외면
여당 공천파동 책임 외면
박근혜 대통령은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편집·보도국장 간담회에서 여당의 4·13 총선 패인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친박 패권 공천’에 관해 “친박을 만든 적이 없다”며 부인했다. 박 대통령은 “여당과 정부가 맞지 않는 것이 여소야대 국면보다 힘들다”, “(의원들이) 당선 뒤 자기 정치를 한다”며 새누리당 내 비박계를 향해선 짙은 불신을 거듭 표시했다.
박 대통령은 ‘새누리당 총선 공천이 친박이라는 특정 정파의 관점에 매몰되면서 지지층을 실망시키고 등 돌리게 했다는 지적이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물음에 “사실은 제가 친박을 만든 적은 없다”고 말했다. 그는 “친박이라는 말 자체가 선거 때 마케팅으로 자신들이 그냥 만들어 갖고 친박이라 했다가 탈박이라고 그랬다가 짤박이라고 그랬다가 별별 이야기를 다 만들어내면서 한 것이다. 나는 거기에 관여하지도 않았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발언은 새누리당 참패의 원인으로 꼽히는 청와대 주도의 노골적인 친박 공천 책임론을 부인한 것으로 풀이된다. 새누리당 안에서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이 청와대의 뒷배 없이 혼자 당헌·당규를 무시한 공천을 했다고 여기는 사람은 드물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진실한 사람들을 선택해달라”고 말했고, 선거 기간 동안엔 민생경제 행보를 한다며 친박 후보 지역구를 찾아 선거 개입 논란을 일으키기도 했다.
“자기정치하는 사람들
굉장히 비애같은 걸 느껴”
비박계 향한 불신 여전 박 대통령은 친박 해체 선언을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친박이라는 용어는 “자신의 정치를 위한 선거 마케팅에서 나온 이야기”라고 실체 없음을 강조하면서 “그렇기 때문에 그걸 없애라 마라 그런다고 될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당 안팎에서 일고 있는 “친박 계파 해체” 요구를 일축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이날 당선자 대회에서 발표한 ‘20대 총선 후 당 지지 회복 방안’에서 “완전한 계파 청산”을 해법으로 내놨다. 박 대통령은 유승민 의원 등 탈당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에 관해서는 “당 안정화 이후”라고 했다. 그는 “새누리당이 앞으로 안정되고 지도 체제가 잘 안착되면 그때 협의해 판단할 문제”라고 답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배신의 정치를 이야기한 사연이 있다. 과거 의원 시절 모두가 기피하는 비상대책위원장도 하고 당대표도 맡으면서 죽을 둥 살 둥 하며 선거를 치렀고 많은 사람들이 당선됐는데 그 뒤엔 자기 정치 한다고 갔다. 허탈하다고 할까, 굉장히 비애 같은 걸 느꼈다”고 말했다. 과거 당대표 시절 “의리가 없는 사람은 사람이라고 할 수 없다”는 인식을 재확인한 것이다. ‘마음에 둔 차기 대선 주자’를 묻자 “제가 얘기 안 해도 실망은 안 하실 것”이라는 농담으로 답을 피했다. 한 새누리당 관계자는 “국민이 그렇게 엄중한 심판을 했는데도 전혀 뭐가 잘못됐는지 모르고, 바뀔 생각도 없다는 것을 만천하게 드러냈다. 소통하겠다고 연 간담회에서 역시 불통임을 보여줬다”며 “안 하느니만 못한 간담회였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박 대통령, 보도·편집국장 간담회 관련기사
▶“총선 결과는 국회심판” 대통령만 모르는 민심
▶“한국판 양적완화 추진” 첫 언급
▶“파견법 일석사조…구조조정 실업자에 빠른 일자리”
▶“세월호특조위 활동 보장, 돈 들어가니 국회가 판단을”
▶“3당대표와 회동 정례화 검토”…여야정 협의체엔 소극적
▶박 대통령과 130분 오찬…‘총선 민심’ 모르고 있었다
▶한은 돈 찍어 구조조정 위한 ‘양적 완화’…현실화 미지수
▶“북 핵실험 강행땐 제재·압박 외 다른 길 없어”
▶김영란법에 “이대로 되면 경제위축 우려”
▶박 대통령, 국정 19가지 이슈에 대한 인식
굉장히 비애같은 걸 느껴”
비박계 향한 불신 여전 박 대통령은 친박 해체 선언을 할 뜻도 없음을 분명히 했다. 그는 친박이라는 용어는 “자신의 정치를 위한 선거 마케팅에서 나온 이야기”라고 실체 없음을 강조하면서 “그렇기 때문에 그걸 없애라 마라 그런다고 될 일이 아니다”라고 말했다. 이는 당 안팎에서 일고 있는 “친박 계파 해체” 요구를 일축한 것이다. 새누리당은 이날 당선자 대회에서 발표한 ‘20대 총선 후 당 지지 회복 방안’에서 “완전한 계파 청산”을 해법으로 내놨다. 박 대통령은 유승민 의원 등 탈당 무소속 당선자들의 복당 문제에 관해서는 “당 안정화 이후”라고 했다. 그는 “새누리당이 앞으로 안정되고 지도 체제가 잘 안착되면 그때 협의해 판단할 문제”라고 답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은 “배신의 정치를 이야기한 사연이 있다. 과거 의원 시절 모두가 기피하는 비상대책위원장도 하고 당대표도 맡으면서 죽을 둥 살 둥 하며 선거를 치렀고 많은 사람들이 당선됐는데 그 뒤엔 자기 정치 한다고 갔다. 허탈하다고 할까, 굉장히 비애 같은 걸 느꼈다”고 말했다. 과거 당대표 시절 “의리가 없는 사람은 사람이라고 할 수 없다”는 인식을 재확인한 것이다. ‘마음에 둔 차기 대선 주자’를 묻자 “제가 얘기 안 해도 실망은 안 하실 것”이라는 농담으로 답을 피했다. 한 새누리당 관계자는 “국민이 그렇게 엄중한 심판을 했는데도 전혀 뭐가 잘못됐는지 모르고, 바뀔 생각도 없다는 것을 만천하게 드러냈다. 소통하겠다고 연 간담회에서 역시 불통임을 보여줬다”며 “안 하느니만 못한 간담회였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박 대통령, 보도·편집국장 간담회 관련기사
▶“총선 결과는 국회심판” 대통령만 모르는 민심
▶“한국판 양적완화 추진” 첫 언급
▶“파견법 일석사조…구조조정 실업자에 빠른 일자리”
▶“세월호특조위 활동 보장, 돈 들어가니 국회가 판단을”
▶“3당대표와 회동 정례화 검토”…여야정 협의체엔 소극적
▶박 대통령과 130분 오찬…‘총선 민심’ 모르고 있었다
▶한은 돈 찍어 구조조정 위한 ‘양적 완화’…현실화 미지수
▶“북 핵실험 강행땐 제재·압박 외 다른 길 없어”
▶김영란법에 “이대로 되면 경제위축 우려”
▶박 대통령, 국정 19가지 이슈에 대한 인식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