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 “유기준 원내대표 출마
친박 집단 지지하는 것 아냐”
유, 출마 강행 ‘각자도생’
비박 “친박 원내대표 내주고
최경환 당대표 차지 수순” 의심
친박 집단 지지하는 것 아냐”
유, 출마 강행 ‘각자도생’
비박 “친박 원내대표 내주고
최경환 당대표 차지 수순” 의심
새누리당 친박계 핵심인 최경환 의원이 28일 “계파 해체”를 주장하며 친박계의 원내대표 출마 봉쇄에 나섰다. 그러나 최 의원이 “친박 단일후보가 아니다”라고 지목한 유기준 의원은 아랑곳없이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하면서 친박계는 ‘각자도생’으로 치닫는 모습이다. 비박계는 “친박이 원내대표 대신 당대표를 차지하려는 정치적 노림수”라는 경계심이 가득하다.
총선 참패 뒤 언론 접촉을 피해온 최 의원은 이날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앞으로 당은 친박, 비박으로 패거리를 지어선 안 된다. 계파가 있다면 해체해야 한다”며 “이건 ‘친박 해체 선언’이라고 해도 좋다”고 말했다.
최 의원은 이어 “유기준 의원은 친박이 마치 집단적으로 자기를 원내대표로 지지하는 것처럼 말하는데 그는 친박 단일후보가 아니다”라고 말했다. 최 의원은 “어제 유기준·홍문종 의원을 함께 만나 ‘총선 패배 뒤 치러지는 첫 당내 선거에서 친박과 비박이 나뉘어 대립하면 안 된다. 여론을 겸허히 수용해 출마를 자제해달라’고 부탁했다”며 “그러나 유 의원은 계속 ‘나가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최 의원은 ‘이런 결정에 청와대와 교감이 있었느냐’는 물음에는 “청와대 생각은 모르겠고 우리가 판단한 것”이라고 했다. 한 재선 의원은 “최 의원의 말은 기본적으로는 친박은 자중해야 한다는 여론을 반영한 말 같다. 만일 유 의원이 원내대표 선거에서 진다면 당내는 물론 청와대에도 타격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미리 선을 그은 의미도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날 오후 유기준 의원은 3선 고지에 오른 충청권 이명수 의원을 정책위의장 짝으로 삼아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했다. 유 의원은 “친박, 비박이라는 용어는 사라져서 고어사전에 등록되어야 한다. 나를 친박 후보로 지칭하지 말아달라”라며 ‘독자 행동’을 선언했다.
이를 두고 당내에선 “친박 내부의 분열이 일어나고 있는 것 같다”(한 당선자)는 얘기가 나왔다. 실제로 친박 내부는 “자중해야 한다”는 다수의 ‘근신파’와 “이대로 가면 친박만 모든 책임을 덮어쓴다”는 소수의 ‘비분강개파’로 기류가 갈린다. 영남 지역의 한 친박계 의원은 “친박이 원내대표를 맡아 후반기 정부를 잘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기준 의원도 전날 “친박이 패배감에 사로잡혀 있을 필요가 없다”고 말했다. 총선이 끝나 ‘윗선 눈치’에서 홀가분해진데다, 중진들도 각자의 정치적 행로를 찾아가고 있다. 이미 이주영, 이정현 의원은 전당대회 출마를 선언한 상태다.
당내 비주류인 비박계 쪽은 최경환 의원의 발언에 의구심이 가득하다. 원내대표는 비박, 중립계에 양보하는 모양새를 취하면서 여론의 비판을 잠재운 뒤 전당대회에서 최 의원 자신이 나서 당대표를 거머쥐겠다는 정치적 셈법이라는 것이다. 한 재선 당선자는 “그냥 최 의원이 전당대회 불출마를 선언하면 된다. 그것 없이 다른 사람들의 정치적 미래를 막는 행동은 진정성도 없고 역풍만 불러일으킬 뿐”이라고 말했다. 정병국 의원은 “누구를 나가라 마라 한다는 자체가 계파 정치고 수장이 있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 아니냐. 진정 계파를 청산하려면 개입하면 안 된다”고 말했다.
친박계였다가 거리가 멀어진 한선교 의원도 성명을 내어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임을 자처한 두 분이 한 분(유기준)은 원내대표, 한 분(홍문종)은 전당대회 후보로 나눠먹기로 합의했다니 이 무슨 경을 칠 일인가”라고 유 의원과 홍 의원을 모두 비판했다. 한 의원은 이어 “최경환 의원이 (친박은 자중하자고) 옳은 지적을 했지만 그도 그런 말 할 자격이 없다. 그냥 가만히 있는 게 좋을 것 같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최경환 의원은 “지금은 당 수습이 급하다. 전당대회 자체를 생각지도 않고 있는데 불출마하라는 것은 이상한 이야기”라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