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정진석 원내대표(가운데)가 1일 오전 국회에서 ‘김해공항 가덕 이전 시민추진단’을 면담하기에 앞서 부산이 지역구인 조경태 의원(오른쪽·사하을), 김세연 의원(금정)과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이달 안으로 예정된 영남권 신공항 입지 타당성 검토 용역 결과 발표를 앞두고 새누리당 안에서 부산과 대구·경북 의원들 사이에 신경전이 고조되고 있다. 신공항 입지를 두고 부산 지역에서는 “부산 가덕도로 와야 한다”, 대구·경북 쪽은 “경남 밀양으로 와야 한다”고 각자 자기 지역에 가까운 곳을 주장하며 맞서왔다.
조경태, 김세연, 김도읍 등 부산지역 의원들은 1일 ‘김해공항 가덕 이전 시민추진단’ 소속 주민들과 함께 정진석 원내대표를 찾았다. 김세연 의원은 면담을 마친 뒤 기자들에게 “현재 진행하고 있는 용역의 공정성과 객관성이 일부 무너지고 있다는 분위기가 감지됐다”며 “철저하게 객관성 유지를 촉구하려고 면담을 했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후에도 공정성과 객관성을 유지하지 못한다는 정황이 확실히 드러나면 지금까지와는 다른 접근을 할 수밖에 없다. 필요하다면 부산지역 야당 의원들과도 공조하는 걸 검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진석 원내대표는 기자들에게 “신공항 건설 문제는 매우 민감한 이슈다. 나는 계속 함구하고 듣고 있었다”고 말을 아꼈다. 영남권 신공항은 부산과 대구·경북의 첨예한 갈등 속에 2011년 한차례 추진이 백지화된 바 있다.
대구 의원들은 정 원내대표와 부산 의원들의 회동 자체를 불쾌해하는 분위기다. 조원진 의원(대구 달서병)은 “이미 부산을 비롯해 대구, 경북, 경남, 울산 5개 지방자치단체장들이 ‘용역 결과를 수용하겠다’는 약속을 한 바 있다. 그럼에도 부산 지역에서 이 약속을 깨려 한다”고 말했다. 경북 지역의 한 의원은 “부산이 뭔가 불리하다 싶으니까 정치적 공세를 펴고 있다”고 말했다.
새누리당 안에서는 신공항 입지 선정 문제가 당 지지기반인 영남 지역에 균열을 내는 뇌관이 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다. 특히 경남 밀양으로 결정되면 가뜩이나 깊어진 부산 지역의 소외감을 자극할 수 있다. 최근엔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 방문 뒤 부산을 뺀 ‘충청-대구·경북’ 연합론이 공공연하게 거론된다. 한 부산 지역 의원은 “공천과 현 정부 인사에서 확인된 친박 패권주의, 대구·경북 패권주의가 신공항 문제에서도 확인된다면 곪은 갈등이 터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당내 분란을 일으킬 수 있는 아주 예민한 문제”라며 “용역 결과가 나왔을 때 수긍할 수 있는 합리적인 근거가 나오지 않는다면 문제가 복잡해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