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8·9 전당대회에 출마한 비박계 당권 주자인 정병국(오른쪽), 김용태 의원이 28일 충남 천안 웨딩홀에서 열린 충남도당 위원장 취임식에 참석해 후보 단일화를 발표하고 있다. 천안/연합뉴스
새누리당 8·9 전당대회에 출마한 정병국·김용태 의원이 28일 여론조사를 통한 후보 단일화에 합의하며 비박계 단일화에 시동을 걸었다. 친박계는 이를 ‘계파 갈등 조장행위’라고 비판하며 각자 완주하겠다는 뜻을 거듭 밝혔다.
■ 정병국-김용태 단일화 합의 정병국·김용태 의원은 이날 충남 천안 웨딩홀에서 만나 “당을 위기로 몰아넣은 특정 계파 패권주의를 배격하는 개혁 세력의 구심을 만들어야 한다는 데 뜻을 같이하며 후보 단일화에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두 사람은 새누리당 지지층 70%와 일반국민 30% 비율로 여론조사를 벌인 뒤 이긴 쪽만 후보등록 마감일인 29일 등록하기로 했다. 다만 또다른 비박계 후보인 주호영 의원은 이번 단일화에 참여하지 않았다. 주 의원은 “단일화 명분과 시기, 방식에 견해를 달리하는 부분이 있어 참여하지 않았다”라고 말했다. 하지만 “필요하면 단일화를 거부하지는 않겠다”며 단일화 가능성을 열어뒀다.
정 의원과 김 의원은 당내 주류인 친박계에 견줘 조직력이 밀리는 상황에서 단일화를 하지 않으면 친박계의 당권 장악을 막을 수 없다는 인식을 같이해왔다. 김 의원 쪽 관계자는 “각자 후보 등록을 하고 선거운동을 벌이다 보면 갈등이 쌓이기 때문에 이후 단일화를 해도 효과가 반감된다”며 “출발부터 단일 후보로 가는 것이 옳다고 판단했다”라고 말했다.
당내에서는 후보 단일화가 비박계 지지층을 결집하는 효과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 수도권 중진의원은 “정 의원은 지역구가 경기, 김 의원은 서울이라 단일화하면 수도권 지역 지지를 모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단일화를 해도 친박계 당권 주자들을 압도할 만큼의 지지율이 나올지는 미지수라는 반응도 있다.
■ 친박 주자들은 완주 의사 친박계 주자들은 비박계 단일화를 비판했다. 이주영 의원은 당사에서 한 기자회견에서 “전대를 계파의 투우장으로 만들겠다는 것이자 반혁신”이라고 비판했고 한선교 의원도 “계파색을 강화하겠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정현 의원은 “개의치 않는다”면서도 마뜩잖은 반응을 보였다.
친박계 후보들은 “단일화는 없다”며 저마다 완주전략을 세워두고 있다. 이주영 의원은 서청원 의원의 불출마로 표류하는 친박 강경파의 표심을 잡으려 한다. 출마선언에서 총선 패배 책임론을 제기하며 친박의 반발을 샀던 이 의원은 이날 <시비에스>(C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저를 친박으로 분류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것이다. 대통령과 집권당이 불안하면 국민이 불안해진다”라며 친박계의 불안감을 불식시키려 했다. 이정현 의원은 ‘하인 리더십’과 ‘호남 출신 첫 당 대표’를 강조하면서 친박계와 일정 거리를 유지하면서 외연을 확장하려 한다. 이 의원은 전날 서청원 의원이 주최한 대규모 친박 모임에 관해서도 “갓끈을 고쳐맬 생각이 없다”며 미리 불참 의사를 밝혔다. 한선교 의원은 철저히 강성 친박과 각을 세우고 있다. 한 의원은 통화에서 “강성 친박이 총선 패배 뒤 아무런 반성없이 당을 망치고 있다. 이들과 싸우는 모습을 통해 온건 친박계의 지지를 얻겠다”고 말했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