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일 오전 서울 여의도 새누리당 당사에서 혁신비상대책위원회 마지막 회의에 앞서 참석자들이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 강창광 기자 chang@hani.co.kr
9일 새누리당 전당대회에서 뽑히는 당 대표의 최대 과제는 내년 정권 재창출이다. 이른바 ‘킹 메이커’가 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다. 후보들은 저마다 ‘공정한 대선 관리’를 내세우지만, 어떤 계파에 속한 누가 대선 경선 레이스의 심판을 맡느냐에 따라 당내 대선 주자들의 유불리가 요동칠 수밖에 없다.
이정현, 이주영, 한선교 등 이른바 친박계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상대적으로 득을 볼 가능성이 높다. 지난 5월 방한 당시 대선 도전 의지를 강하게 밝힌 반 총장은 친박계가 영입에 강한 의욕을 보이고 있다. 두각을 나타내는 당내 대선 주자가 없는 친박계에서는 “새누리당에 반기문 총장은 변수가 아닌 상수”(홍문종 의원)란 정서가 있다. 청와대도 이런 정서와 무관하지 않다. 친박계 당 대표 후보들도 “당내 경선은 필수”라면서도 반 총장 영입에 관심을 나타냈다. 이정현 의원은 텔레비전 토론회에서 “외교·안보를 외국에 많이 의지하는 나라에서 그의 외교적 능력이 힘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주영·한선교 의원도 ‘충청 대망론’을 거론하며 자신이 반 총장 영입의 적임자라고 강조했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친박계 당 대표가 나온다면 아무래도 청와대가 구상하는 대로 대선 판도가 짜일 가능성이 높다. 특히 이정현 의원이 된다면 더욱 청와대 입김이 강하게 작용할 것 같다”며 “이 경우 반 총장의 임기가 끝나는 올 연말 이후로 본격 대선 레이스 시작을 맞출 수도 있다”고 말했다.
반면 비박계 주호영 의원이 당 대표에 당선되면 반 총장보다는 김무성 의원을 비롯한 비박계 대선 주자들이 탄력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김무성 의원은 “해당행위”라는 친박계의 거센 반발을 무릅쓰고 이번 전당대회 과정에서 비박계 단일화에 적극 개입했다. 그는 8일 기자들과 만나 “비주류 단일후보인 주 의원이 대표가 되는 게 회초리를 든 국민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한다”고 주 의원 지지를 명확히 했다. ‘주호영 당 대표’가 탄생할 경우 자신의 지분을 요구할 수 있는 입지를 다진 셈이다. 오세훈 전 서울시장 역시 주 의원이 당권을 쥐면 활동 공간이 넓어질 수 있다. 오 전 시장은 비박계 단일화와 수도권 원외 당협위원장들의 지지를 독려하며 존재감을 부각했다. 그는 8일 주호영 의원을 만나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해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도록 힘을 모으자”고 북돋았다. 아울러 주 후보가 ‘혁신’을 내건 만큼 유승민 의원과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도 운신의 폭이 넓어질 수 있다. 새누리당의 한 비박계 의원은 “주 의원이 당 대표가 되면 비주류 대선 주자들을 띄우려는 움직임이 빨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당 대표 경선이 결국 계파 대결로 점철된 탓에 새 대표가 잡음 없이 대선 후보 선출을 이뤄내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누가 되든 당 대표로서 무게감이 떨어지는데다 선거 과정에서 계파에 빚까지 졌다. 특정 계파에 휘둘리거나 책잡혀, 공정성을 확보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9일 서울 잠실체육관에서 치러지는 전대 결과는 저녁 7시께 나온다.
성연철 기자
sych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