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문화창조융합 본부장 “대통령 지시로 해임” 폭로
“차 전 본부장이 판 다 짜, 그 판 건들지말라 수시로 압박
증빙서류·기획서도 없이 일처리…문화판 4대강 비리”
여명숙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
여명숙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이 지난 4월 문화창조융합벨트 본부장직을 그만둔 것이 “박근혜 대통령의 지시 때문이었다”고 폭로했다.
여명숙 위원장은 7일 ‘박근혜 정부의 최순실 등 민간인에 의한 국정농단 의혹사건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제2차 청문회’에 출석해 문화창조융합벨트 본부장에서 보직 해임 통보를 받은 일에 대한 도종환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질의에 “형식적으로는 사임이지만 실질적으로는 해임”이라고 밝혔다. 여 위원장은 “해임 통보는 당시 김종덕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했다”며 “표면적으로는 게임물관리위원회 업무 폭증 때문에 되돌아가라는 것이지만, (김 전 장관이) 대통령이 아침에 전화해서 내려보내라고 말했다고 전해줬다”고 말했다.
여 위원장은 ‘본인이 추측하는 해임 사유는 뭐냐’는 질문에 “제가 ‘점령군처럼 굴어서 일을 못 하겠다는 말이 돈다. 불필요하게 영수증 달라고 하는 것 때문에 일을 못 하는 것 같은데 앞으로 해야 될 일이 많은데 이건 문제가 많다’는 얘기를 김종덕 전 장관이 직접 했고, 제가 일이 절차 없이 진행되는 것에 대해 지속적으로 드린 의견이 결국 무시됐고, 그런 것들에 대해 제가 혹시 반감을 갖거나 일이 또 원하시는 대로 안될까 해서 나가시라고 한 게 아닌가 한다”고 설명했다.
여 위원장은 이어 “차은택 전 본부장이 문화창조융합벨트의 판을 다 짰으며, 수시로 그 판을 건들지 말라는 명령을 상부로부터 들었다”고 말했다. 도종환 의원이 “사업과 관련해 차은택 등이 어떤 혜택을 입었다고 생각하느냐”고 묻자 여 위원장은 “정확히 파악할 시간이 없었지만 종점을 모를 정도다. 내게 주어진 영수증이나 부실한 행정 절차를 검토한 결과 차은택과 김종덕 전 장관, 융합벨트 간부들, 송성각 콘텐츠진흥원장, 청와대 수석들이 한팀으로 움직인 것으로 보인다”며 “그분들이 정확한 내용을 알 것”이라고 답했다.
여명숙 게임물관리위원회 위원장이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순실 국정농단 의혹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위 2차 청문회에 출석하기 위해 국회 건물로 들어서고 있다. 연합뉴스.
이어 도 의원이 “증빙서류나 기획서 없이 일 처리가 가능하냐”고 묻자 여 위원장은 “상상할 수 없는 일이다. 미래부 소속이면서 결재와 보고는 문화부에서 이뤄지고, ‘책임’이 언급될 때만 ‘우리는 미래부 소속’이라는 해괴한 답변이 돌아왔다”고 답했다. 여 위원장은 이어 “금액은 비교가 어렵지만 이는 문화판 4대강에 버금가는 비리다. 문화융성, 국가 브랜드와 자존심이 걸린 국책 사업에서 한 국가의 정신이 난도질당한 셈”이라고 말했다.
이재훈 허승 기자 nang@hani.co.kr[관련 영상] 한겨레TV | 더 정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