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한국당 의원들이 30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기에 대한 경례를 하고 있다. 이날 한국당 의원들은 검은 정장을 입고 의총에 참석했다. 연합뉴스
자유한국당이 국정감사 ‘보이콧’ 이틀만에 복귀를 선언했다. 31일 국감 종료를 앞둔 30일 오전 자유한국당이 복귀하면서 국정감사가 마무리 단계에 들어설 전망이다.
자유한국당은 30일 오전 9시 열린 의원총회에서 국감 복귀 안건을 추인했다. 정우택 자유한국당 원내대표는 의총을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국감을 중단한 계기가 야당으로서는 방송 장악 음모에 대한 강력하고도 최소한의 항의 수단이었다”며 “이번에 국감을 재개하고 대여 투쟁의 강도를 높여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보이콧을 통해) 무엇을 얻어내고 가져가는, 기존 방식을 처음부터 타협한 것이 아니다”라며 “(정부여당이) 방송장악으로 가는 과정에서 한국방송(KBS)와 문화방송(MBC) 사장의 교체가 이뤄진다면, 국민들께서도 왜 자유한국당이 그 당시 국감 중단까지 해야 했는지 이해도와 인지도가 높아지실 것”이라고 덧붙였다.
지난 26일 목요일 국감 불참 선언을 한 후 별다른 성과를 얻지도 못한 채 복귀한다는 비판에 대한 해명으로 보인다.
정 원내대표는 앞서 의총 모두발언에서 “국감에 들어가 강력한 원내 투쟁 통해서 우리 주장을 관철하고 마무리짓고, 한편으로 대여 투쟁 방법을 강도 높게 펴는 것이 현명할 것으로 보인다”며 국감 복귀를 촉구한 바 있다.
다만 자유한국당은 대여투쟁 방안은 강도를 높이겠다는 방침이다. 정 원내대표는 “언론 모니터링 기능을 강화하고 필요한 경우엔 의원들이 언론사를 직접 항의방문하겠다. 또 검은 넥타이와 여성 의원들은 검은 정장 차림을 해, 공영방송이 사망하고 있다는 표현을 해달라”고 말했다. 또 국감에 들어갈 때 노트북에 ‘민주주의 유린, 방송 장악 저지’라고 적힌 스티커를 노트북에 부착하고, 의원 개별 질의시 문재인 정부가 지난 28일 유엔 결의안에 기권한 데 대해 여론의 주의를 환기시키는 ‘저항’ 방안도 함께 논의했다.
자유한국당이 국감 복귀를 결정한 것은 일반 상임위 국감이 31일 종료해 국감 거부 투쟁의 실효성이 떨어지고, 11월로 예정된 예산 국회가 시작되면 문재인 정부의 개혁입법과 관련 예산안을 원내에서 저지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는 판단을 내린 까닭으로 보인다. 또 11월1일 문재인 대통령의 시정연설이 예정돼 있고, 11월8일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국회 연설도 예정돼 있어 국회 파행이 이어질 경우 여론의 호응도 받기 어려운 상황이다.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