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 원내대표 중립후보 단일화 토론회를 마치고 사회를 맡은 나경원 자유한국당 의원을 비롯해 조경태, 이주영, 한선교 의원이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원내대표 경선에서 ‘친박’(박근혜)도 ‘친홍’(홍준표)도 아닌 ‘중립’을 선언한 이주영, 조경태, 한선교 의원 등이 6일 단일화를 위한 토론회를 개최하며 본격적인 선거전에 뛰어들었다. 이들 후보들은 국회의원회관에서 토론회를 열고 ‘당의 사당화를 막겠다’ ‘계파정치는 안된다’고 홍준표 대표를 겨냥한 발언을 쏟아내는 한편, 문재인 정부에 맞서 싸우는 강력한 야당이 되겠다고 입을 모았다.
이주영 의원은 “똘똘 뭉쳐 강한 수권 야당을 만들겠다. 계파 패권주의를 몰아내고 당을 쇳덩어리같이 단단하게 만들겠다”며 “후안무치한 문재인 정권을 결집된 힘으로 심판하고 막아내겠다”며 강한 투쟁의지를 보였다. 특히 “이슈를 선점해 정국의 주도권을 쥐고, 중도외연 확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겠다”며 보수의 지지를 다시 끌어올리겠다는 각오를 밝혔다. 그는 “장작 위에서 잠자고 쓸개를 핥으며 투쟁할 각오가 돼 있다”고 와신상담의 고사를 빌려 지지를 호소했다. 특히 이 의원은 “결국 당내 통합을 하려면 계파정치 청산, 사당화를 막아내야한다”며 홍준표 대표를 겨냥하기도 했다.
한선교 의원은 “나라가 독재정권으로 치닫고 있는데 자유한국당은 부끄럽게 계파싸움, 감정싸움을 한다“며 “홍 대표의 암덩어리, 바퀴벌레 발언이라든지... 고름이라는 말이 대표 입에서 나오는 순간 밥을 더 먹을 수가 없었다”고 말했다. 그는 “아무리 호가호위하며 나름의 이득을 취했다지만 고름이라고 부를 수 있느냐”며 “내가 원내대표에 당선 안되더라도 출마해 바른 이야기를 해야겠다는 결심을 홍 대표가 만들어줬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 도중 전날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한 김성태 의원이 참석하자, 한 의원은 “기자들은 김성태 의원이 당대표가 미는 후보라고 하는데, 참 행복한 일”이라며 “이 3명은 그게 없어서 단일화를 하고 있다”고 뼈 있는 농담을 던졌다. 전날인 5일 홍준표 당대표는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다음 원내대표 선출 이후엔 당 내 일에 개입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마무리 발언에서 한 의원은 “이주영 의원은 예외라고 쳐도, 힘 없는 의원 셋”이라고 중립지대 후보들을 거론하며 “각각 나가면 승리할 확률이 없지만, 고맙게도 뜻 있는 의원들이 이쪽도 저쪽도 마땅하지 않다며 단일화에 용기를 줬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누가 되든 세 사람 중 단일화 하면 (당선)될 수 있다”고 힘을 줬다. 그는 각각 나가서 승리할 ‘확률이 없는’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조경태 의원은 부산에서 민주당 출신으로 4선까지 해, 친구들은 아마 주사파일 것이고 자유한국당에 오는 동시에 배신자로 찍혀 쉽지 않은 일”이라고 농담해 웃음이 터져나오기도 했다. 이날 단일화 토론회에는 심재철, 추경호, 송석준, 이완영, 성일종, 신보라, 김성원, 이종배, 안상수, 홍일표, 민경욱, 정유섭, 이명수, 문진국, 김순례, 강길부, 박완수, 백승주, 김귀선 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날 조경태 의원은 단일화 토론회를 마치고 난 뒤 출마선언 기자회견을 열고 “중립지대 후보 단일화 토론회에 (친홍인)김성태 후보 출마선언 때보다 많은 의원들이 오지 않았느냐”며 ‘중립지대’의 세를 과시했다. 김성태 후보의 경우 사전에 예정했던 출마선언 행사가 전날 예산안 관련 의원총회 시각과 겹치면서 많은 의원들이 참석하기 어려웠다. 김학용, 김재경, 신보라, 문진국, 장석춘, 여상규, 장제원, 안상수, 이은재, 이진복, 강석호, 박성중, 이종배, 이군현, 강길부 의원 등이 참석했다.
이로써 원내대표 출사표 진영은 친홍, 중립, 친박 간의 삼파전 진용을 갖춰가고 있다. 6일 친박계로 꼽히는 홍문종 의원은 라디오 인터뷰를 통해 “홍준표 대표가 당에 온 뒤 어려운 일이 많았다. 모든 구성원들이 하나 되고 시너지를 낼 수 있는 리더십이 필요하다”며 출마 뜻을 밝혔다. 전날인 5일엔 김성태 의원이 “싸울 줄 아는 강한 야당을 만들겠다”며 원내대표 출마를 선언했고, 같은날 친박계에선 4선의 유기준 의원이 라디오 인터뷰에서 출마 뜻을 밝힌 바 있다. 글·사진 정유경 기자
ed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