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오른쪽 둘째)이 27일 오전 서울 서초구 양재동 더케이(K)호텔에서 열린 제21대 국회의원 당선인 워크숍에서 박광온 최고위원으로부터 자리를 양보받고 있다. 강창광 선임기자 chang@hani.co.kr
대선주자 선호도 1위를 기록 중인 이낙연 더불어민주당 코로나19국난극복위원장이 오는 8월 전당대회에서 당대표직에 도전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 위원장은 27일 서울 서초구의 한 호텔에서 열린 ‘21대 국회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당선인 워크숍’에서 자신의 전당대회 출마 결정을 보도한 <연합뉴스> 기사를 언급한 뒤 “보도 내용이 대체로 맞다”고 밝혔다. 앞서 <연합뉴스>는 이 위원장이 당 대표직에 도전하기로 결심했으며 다음주 출마 선언을 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이 위원장은 최근 당권 주자 후보군으로 꼽히는 우원식·홍영표 의원 등을 만나 의견을 교환한 뒤 당 대표 출마 결심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당내 사정에 밝은 한 중진 의원은 이날 기자들에게 “조만간 (이 위원장이 출마 선언을) 할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하지만 일각에서 거론된 이낙연 단독 출마 구도는 쉽게 짜이지 않을 듯하다. 전날 이 위원장을 만난 우 의원은 이날 워크숍에서 “어제 이 위원장과 만났다. 나는 그동안 (당 대표 선거를) 준비하고 있었으니 출마 의사를 가지고 있다고 했다”고 말했다. 지난 21일 이 위원장과 만난 홍영표 의원은 이날 당권 도전 의사를 묻는 기자들에게 “당 대표를 계속 준비해왔고 준비할 것”이라며 “특정인의 출마 여부와 연계해 결정하진 않는다”고 말했다. 당 대표 출마 의사를 명확히 밝힌 것이다.
이 위원장과 함께 차기 대선 도전을 꿈꾸는 김부겸 의원의 당 대표 출마 가능성도 거론된다. 21대 총선에서 대구 수성갑에 출마했다 낙선한 김 의원은 정치적 반등점을 마련하기 위해 8월 전당대회에서 이 위원장과 맞붙는 그림을 구상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김 의원 쪽 핵심 인사는 “이낙연 위원장이 나선다면 우리도 도전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고 했다. 이 위원장이 당권까지 거머쥐면 ‘대세론’을 업고 대선으로 직행할 가능성이 큰 만큼, 조기에 승부수를 띄워야 한다는 계산이다.
다만, 이 위원장이 당권에 도전하면 불출마할 것으로 알려진 송영길 의원은 이날 “코로나 상황이랑 당권과 대권 문제가 섞여 경쟁이 본격화되면 (국민들 보기에) 안 좋을 것 같다. 우리가 크게 노선 차이가 있는 것도 아니고 (문재인 대통령을) 단일대오로 뒷받침해야 하는 상황 아니냐”고 말했다.
이 위원장의 당권 도전은 대체로 예상된 경로였다. 당권을 쥐어 당내 세력을 탄탄히 구축한 뒤 일찌감치 차기 주자로 입지를 굳히는 수순이다. 문재인 대통령이 2015~2016년 밟았던 경로이기도 하다. 다만 당규에 명시된 당권·대권 분리 조항 때문에 이 위원장이 당 대표가 되더라도 대선에 도전하려면 선거일 1년 전에 대표직을 내려놔야 한다. 임기 7개월짜리 당 대표를 맡게 되는 셈이다. 이런 이유로 이 위원장 주변에선 당권 도전을 만류하는 분위기도 있었다. 하지만 이 위원장은 177석의 거대 여당을 이끌며 코로나 위기를 극복하는 리더십을 보이는 것이 대선 주자로서 입지를 굳히는 가장 확실한 경로라는 판단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정환봉 서영지 기자
bong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