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대통령이 지난 6월 영국에서 열린 주요7개국(G7) 정상회의를 맞아, 파스칼 소리오 아스트라제네카 회장과 면담을 했다. 청와대 제공
문재인 대통령이 국내 바이오업체가 개발 중인 코로나19 백신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필요한 ‘대조백신’을 확보하기 위해 ‘편지 외교’를 펼쳤다고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밝혔다.
박수현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지난 4일 페이스북에 ‘브리핑에 없는 대통령 이야기’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아스트라제네카가 지난달 31일 에스케이(SK)바이오사이언스에 대조백신을 무상으로 전달하기까지의 뒷이야기를 전했다. 그가 전한 이야기를 종합하면, 정부와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는 그동안 대조백신을 확보하는데 애를 먹고 있었다고 한다. 국외백신 제조사가 국내 기업에 ‘대조백신’을 공급하는데 난색을 표했기 때문이었다. 박 수석은 “이들의 입장이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은 아니”라면서 제약사들의 경제적 이해가 달린 문제를 풀기가 쉽지 않았음을 내비쳤다.
기존 ‘위약 대조군 방식’을 대체할 수 있는 새로운 3상 ‘비교 임상시험’을 하기 위해선 대조백신이 꼭 필요한 상황이었다. 새로 개발된 코로나19 백신이 효과가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데, 백신 미접종자에게 진짜약과 가짜약을 투여해 실험하는 방식(위약 대조군 방식)은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대규모로 진행되면서 실행하기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이를 위한 대조백신 확보가 지연되는 상황 속에서 문 대통령은 지난 7월 중순 아스트라제네카에 서신을 보내기로 했다. 박 수석은 “대조백신을 확보해 글로벌 (백신 생산) 허브로서 역할을 다하려는 우리나라의 진정성을 설명하며 초국가적 협력을 요청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올해 7월21일 에스케이바이오사이언스와 아스트라제네카 간에 대조백신 공급합의로 이어졌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5일 ‘케이(K)-글로벌 백신 허브화 비전 및 전략보고대회’에서 “내년 상반기까지 국산 1호 백신의 상용화가 기대되고 있다. 정부는 국산 백신의 신속한 개발을 위해 다방면의 지원체계를 가동하겠다”며 국산 백신 개발을 전폭 지원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이완 기자
wan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