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 허점 인정하면서도 “인사파일 옮겨 열람못해”
노 정부쪽 “책임 전가”
노 정부쪽 “책임 전가”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부실 검증 책임론이 들끓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가 28일 인사 검증이 미흡했음을 인정했다. 하지만 책임 일부는 노무현 정부 탓으로 돌렸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이날 “일일이 수작업 하듯 검증하는 과정에서 제대로 확인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던 것 같다. 역량을 초과하는 일을 하다 보니 약간의 허점이 생긴 것으로 이해해 달라”며 “국민에게 송구스럽다”고 말했다. 그는 “생각보다 인재 풀이 매우 제한돼 있고 검증 시스템에도 한계가 있다”며 “앞으로 국가 100년 대계 차원에서 인사 검증 시스템을 향상시킬 방안을 마련해 보겠다”고 말했다. 이날 청와대 수석비서관 회의에서도 허술한 인사 검증 시스템이 도마에 오른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는 부실 검증 책임이 노무현 정부에도 있다고 주장했다. 이 핵심 관계자는 “전 정부(노무현 정부) 공직기강 비서관실이 주로 갖고 있던 2만5천여명 분량의 인사파일이 있었는데 떠나기 직전 이를 정부기록보존소로 이관했다”며 “옮겨진 파일을 보려면 국회 동의를 얻어야 하는데 동의를 잘 안 해주는 문제도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전 정부에서 인사 검증을 도와주겠다고 했지만, 그렇게 하면 장관 후보자가 노출되는데다 전 정부와 신뢰 관계도 없어 현실적으로 받아들이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이에 노무현 정부 쪽은 “밀실 인사의 책임을 떠넘기고 있다”고 반박했다. 노무현 정부 시절 청와대의 고위 인사는 “참여정부가 인사과정에서 모은 검증 관련 각종 자료를 과거 정부처럼 일방적으로 폐기하지 않고 대통령기록관으로 보내 보존한 게 비난받아야 할 일이냐”며 “이명박 정부가 밀실·수첩 인사를 하면서 생긴 문제를 전 정부 탓으로 돌리고 있다”고 말했다. 노무현 정부의 또다른 청와대 출신 인사도 “참여정부의 인사검증 자료는 인물관과 평가 잣대가 현 정부와 달라 현 정부가 이를 볼 이유가 별로 없다”고 말했다. 성연철 신승근 기자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