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대통령 전용기 교체 계획을 사실상 백지화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16일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자체적으로 (이명박 대통령) 임기 안에는 전용기 도입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대통령실 예산으로 잡아 국회를 통과해야 하는데 전용기가 고가인데다 경제 여건도 좋지 않아 일단 (기존 도입 계획은) 접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앞으로 경제 상황이 좋아지고 도입에 긍정적 여론이 형성된다면 다시 도입을 추진할 수 있다”고 여지는 뒀다. 청와대는 애초 2012년에 전용기를 새 것으로 교체한다는 계획을 세운 바 있다.
앞서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은 12일 재정부 출입기자들에게 “(대통령 전용기를) 바꿔야 하고 사는 게 더 싸다고 보는 것 같은데 여론 등도 의식해 사는 것은 미루는 것 같다. (내년) 예산에 배정이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지금 사용하고 있는 대통령 전용기는 1985년 도입된 것으로 탑승 인원이 40명 정도라 대통령의 국외 순방 때는 이용이 불가능하다. 정부는 대통령 국외 순방 때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에서 교대로 민간 항공기를 빌려 개조한 뒤 전용기로 쓰고 있다. 참여정부는 임기 말인 2006년 전용기 도입비용 300억원 가량을 편성해 국회에 냈지만 당시 야당이던 한나라당의 반대로 모두 삭감됐다. 이명박 정부도 지난해 8월 중형급 이상의 전용기 도입 계획을 세우고 140억원의 구입비용을 국회에 냈지만 역시 모두 깎였다.성연철 기자, 연합뉴스 sych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