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오 기용’ 수군대기도
청와대가 다음주 중 새 국무총리 후보자를 발표하는 것을 목표로 막바지 인선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다음주 초 유력 후보에 대한 ‘사전 청문회’를 거쳐 15일께 후보자를 확정·발표하는 게 목표라고 청와대 관계자들이 10일 전했다. 청와대는 이번 인사부터 유력 후보 2~3명을 상대로 내부 인사추천위원회의 ‘사전 청문회’를 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청와대가 밝힌 후임 총리의 콘셉트는 이 대통령이 집권 후반기 핵심 기조로 내건 ‘공정한 사회’에 걸맞은 인물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공정사회와 친서민은 이 대통령이 임기 내내 가져갈 화두인 만큼, 이에 부합하는 인물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어떤 부류의 인물이냐’를 두고는 흐름의 변화가 감지된다. 지난달 29일 김태호 총리 후보자가 낙마한 직후에는 그에 대한 반성과 반작용으로 ‘청렴’이 첫째 기준으로 부상했고, 이에 따라 김황식 감사원장, 조무제 전 대법관, 이명재 전 검찰총장과 같은 ‘법조 총리론’이 여권에서 거론됐다. 이어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과 같은 ‘경제 총리론’이 회자하더니, 최근에는 ‘정치인 총리’로 무게중심이 이동하는 분위기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이날 “정치인들 가운데서 결정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고 말했다. 정무적 감각을 갖추고 이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운영을 튼튼하게 뒷받침해줄 사람이어야 한다는 논리에서다.
이런 맥락에서 맹형규 행정안전부 장관과 전재희 한나라당 의원(전 보건복지부 장관)이 자주 거론된다. 맹 장관은 정무적 감각과 조정능력이, 전 의원은 정책능력과 친서민 이미지, ‘여성 총리’의 상징성이 장점으로 꼽힌다.
이재오 특임장관을 총리로 기용하는 방안도 얘기가 나온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이 장관은 이 대통령의 의중을 잘 알고, 국민권익위원장을 지내 친서민·공정사회 콘셉트에도 가깝다”며 “검토할 만한 카드”라고 말했다. 하지만 특임장관 임명장을 받은 지 열흘밖에 안 됐다는 점과 친박근혜 진영의 반감 등이 부담이다. 세 사람 모두 국회 인사청문회를 무난히 통과했다.
이밖에 청와대 정책실장을 지낸 윤진식 한나라당 의원과 정운천 전 농림수산식품부 장관의 이름도 오르내린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