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G20 이후’ 정국 앞에 머리가 복잡하다. 서울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로 잠시 주춤했던 민감한 현안들과 다시 맞닥뜨려야 하기 때문이다. 대포폰 및 민간인 사찰 재수사를 비롯해 △청목회 관련 정치권 수사 △4대강 사업 등 내년도 예산안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 △아랍에미리트(UAE) 파병 등이 그것이다.
청와대의 가장 큰 골칫거리는 ‘대포폰’ 건이다. 국무총리실 공직윤리지원관실의 민간인 불법사찰 증거인멸 과정에 현직 청와대 행정관이 대포폰을 제공한 것을 두고 여당인 한나라당 지도부에서도 다수가 재수사를 주장하고 있지만, 청와대는 선뜻 동조하지 않고 있다. 대포폰의 연결고리가 어디까지인지, 재수사 결과를 감당할 수 있을지에 자신이 없기 때문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14일 “새로운 증거나 사실 관계가 나오지 않는 상황에서 현재까지의 주장들만으로는 검찰이 재수사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최근 여권에서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도 대포폰 재수사 찬성 여론이 50% 이상으로 나와, 청와대도 적지 않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청와대의 다른 관계자는 “15일 나올 이인규 전 공직윤리지원관 등에 대한 1심 재판 결과와 국민 여론, 여야 정치권의 대응 등을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는 청목회 후원금 관련 여야 국회의원 수사에 대해서는 찬성 여론이 70%를 훨씬 넘는 만큼 검찰이 법대로 수사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는 기류가 강하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G20 성과 홍보와 청목회 수사, 개헌논의 등을 통해 대포폰 등 민감 현안에 대한 관심을 최대한 분산시켜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 ‘YS 교육시장화’ 뒤 학벌사회 더 단단해졌다
■ 노벨상 유력 후보였던 한국의 과학자
■ G20 마친 청와대 ‘골아프네’
■ 단일야당 정권교체 염원 시민 뭉쳤다
■ 노벨상 유력 후보였던 한국의 과학자
■ G20 마친 청와대 ‘골아프네’
■ 단일야당 정권교체 염원 시민 뭉쳤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