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의 정동기 땐 타격 우려
며칠간 여론 검증 받기로
며칠간 여론 검증 받기로
청와대가 새 감사원장 후보자 인선과 관련해 ‘지나치게 폐쇄적’이라는 지적을 받아온 인사 방식을 바꾸는 방안을 적극 검토중이다. ‘정동기 사태’와 같은 인사실패를 되풀이했다가는 회복 불가능한 정치적 타격이 예상된다는 우려 때문이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17일 “정동기 전 민정수석을 감사원장 후보자로 인선하는 과정에서 감사원의 독립성·중립성 훼손이나 로펌 고액 수입이 그렇게 큰 논란이 될 줄은 내부에서 예측하지 못했었다”며 “이를 교훈 삼아, 이번에는 후보군이 3배수 정도로 압축됐을 때 언론에 공개해 며칠간 여론의 검증을 받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이 방식은 지난 정부도 썼던 것으로, 이명박 정부에서도 인사실패 때마다 제기됐으나 ‘후보자들의 명예가 훼손된다’, ‘음해성 투서를 감당할 수 없다’ 등의 이유로 실행된 적은 없다. 청와대의 다른 핵심 관계자는 “이번에는 이 방식에 공감하는 내부 의견이 많다”고 전했다.
청와대는 또 새 감사원장 후보자 발굴 단계에서부터 한나라당 등에 “좋은 사람 있으면 추천해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동기 후보자가 한나라당의 거부로 낙마한 만큼 이번에는 당을 비롯해 각계 의견을 좀더 폭넓게 듣고 있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정동기 사태’의 후폭풍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 연휴 전까지 새 감사원장 후보자를 지명하고, 2월 임시국회에서 인사청문회를 하는 일정을 목표로 삼고 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