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4년차 쇄신 위해”…개편폭 고민중
이명박 대통령 취임 3돌(2월25일)을 앞두고 내각과 청와대 개편론이 나오고 있다. 국정운영의 진용을 새롭게 짜서 남은 2년 임기에 활력을 높일 필요성 때문이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26일 “청와대가 다음달 공석인 감사원장 인선을 비롯해 청와대 수석비서관과 장관들 일부를 교체하는 방안을 고민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오래된 장관과 청와대 참모들이 우선 검토 대상에 꼽힌다. 청와대 관계자는 “한자리에 오래 머물러 있다 보면 매너리즘에 빠질 수 있다”며 “이를 깨고 변화를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현재 장관들의 재임 기간을 보면, 정부 출범 이래 3년을 채우는 이만의 환경,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이 ‘최장수’를 기록하고 있다. 원세훈 국가정보원장, 윤증현 기획재정,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2년 됐다. 물론 ‘정동기 사태’ 이후 공석인 감사원장 인선이 급선무이고, 3월로 임기가 끝나는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 김종창 금융위원장의 연임 또는 교체도 함께 고민해야 한다. 청와대에서는 권재진 민정, 진영곤 고용복지, 진동섭 교육문화 수석이 1년4개월로 가장 오래된 수석이다.
후반기 국정운영 기조인 공정사회에 맞도록 개편 폭을 더 넓혀야 한다는 의견도 청와대 등 여권 내부에서 제기되고 있다. 여권 관계자는 “집권 4년차를 맞아 국민들이 쇄신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도록 내각과 청와대의 얼굴을 교체할 필요가 있다”며 “어떻게 하는 게 효과적일지 전반적으로 검토중”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청와대는 정책 연속성 등의 변수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 이만의 환경,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을 두고는 청와대 안에서 “바꿔줄 때가 됐다”는 의견과, “4대강 사업을 마무리한 뒤 교체하는 게 낫다”는 의견이 맞서고 있다. 원세훈 국정원장, 현인택 통일부 장관의 경우, “대북정책 전환을 위해 간판 교체가 필요하다”는 견해와, “북한에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신중론이 맞선다. 청와대 일각에서는 구제역 파동과 관련해 유정복 농림수산식품부 장관 책임론도 제기되지만, 임명된 지 5개월밖에 안 된데다 그가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비서실장 출신이라는 점에서 결정이 쉽지 않다.
인사청문회 변수를 고려해 개편을 하더라도 가급적 소폭으로 해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설 연휴(2월2~6일) 이후 청와대·내각 개편의 폭과 대상에 대한 논의가 구체화될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들이 전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