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 큰 모습 보이지 못해…’
청, 회담무산 책임 부담
청, 회담무산 책임 부담
이명박 대통령과 손학규 대표의 청와대 회동이 무산된 것을 두고 민주당은 14일에도 “속 좁은 청와대”라고 비판했다.
손 대표는 이날 의원총회에서 “(회담을 통해서) 최소한 날치기 국회에 대한 대통령의 유감표명 한마디라도 국민에게 들려주려고 했던 우리의 충정이 오히려 순진했고 부끄럽게 여겨진다”고 이 대통령을 비판했다.
박지원 원내대표도 “대통령이 방송좌담에서 ‘야당 대표와 만나겠다’고 사실상 여야 영수회담을 제안해놓고, (지난 10일 이후) 청와대에서 아무런 연락도 없었다”며 “이 대통령이 그렇게 속 좁은 정치를 해서 여야관계가 원만히 풀릴 수 있겠냐”고 반문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들은 “손 대표가 ‘등원 전 영수회담’, ‘연말 예산안 처리에 대한 대통령 사과’를 전제조건으로 고집해 회동이 무산된 것 아니냐”며 “손 대표가 너무 한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청와대 내부적으로는 회동 불발에 적지 않은 부담감을 느끼고 있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크게 보면 회동 무산으로 청와대가 상대적으로 더 큰 부담을 안게 된 게 사실”이라고 말했다. 다른 관계자는 “손 대표는 회동을 거부하고 치고 나가는 모습을 보여 야당 대표로서 선명성이라도 얻었지만…”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이 지난 1일 방송좌담회에서 야당 대표와 회동 의사를 밝혀놓고도 국가 최고 지도자로서 어떻게든 손 대표를 청와대 식탁으로 불러들이는 ‘통 큰 모습’을 보이지 못했다는 지적에 공감하는 것이다.
이 대통령과 야당 대표 회동은 이 대통령 취임 3주년(2월25일)을 맞아 청와대가 지난 연말부터 추진해온 핵심 프로그램 중 하나였다. 집권 4년차의 안정적 국정운영을 위해서는 정치권을 비롯한 각계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협력을 이끌어내는 게 필수적이라는 판단 때문이다. 이 대통령이 지난 2008년 9월 정세균 당시 대표와 회동 이후 제1야당인 민주당 대표와 2년5개월째 만나지 않고 있다는 사실 자체가 청와대로서는 편치 않았다. 또 구제역, 전세난, 고물가 등 민생현안과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등의 처리를 위해서도 야당과의 관계 개선이 절실하다.
이런 점들 때문에 청와대 안에서도 이 대통령에게 ‘등원 전 영수회담’이라는 야당의 주장을 수용하자는 의견도 있었지만, ‘회동을 정략적으로 이용해선 안 된다’는 이 대통령의 생각이 워낙 확고했다고 한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 대통령이 정치와 관련해 자주 하는 말이 ‘지금이 아직도 3김 시대냐’라는 것”이라고 말했다. 야당 대표와의 회동도 야당이 ‘우리가 대통령 사과를 이끌어냈다’고 활용하는 방식에 이 대통령은 강한 거부감을 갖고 있다고 한다.
청와대는 손 대표와의 회동 가능성에 계속 여지를 남겼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대통령이 야당 대표와 만나서 허심탄회하게 국정 전반에 대해 얘기를 나누는 것에 항상 열린 자세로 임하고 있다”고 말했다. ‘야당 대표를 안 만나는 대통령’이라는 꼬리표를 끝까지 달고 갈 수는 없기 때문이다.
황준범 송호진 기자 jayb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등록금 보탠다고…” 입학앞둔 피자배달원 죽음
■ “가미카제 만세” 김윤철 전주시의원 ‘황당한 막말’
■ 무바라크는 없지만…‘이집트판 노태우정권’ 우려
■ 고립 풀리자 또…“제설작업 엄두도 안나”
■ 모바일로 물품 거래 ‘앱’ 나왔다
■ 파리크라상, ‘쥐식빵 자작극’ 10억 손해배상 소송
■ 김조광수 “돈 되는 영화, 안 만들었을 뿐입니다”
황준범 송호진 기자 jayb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등록금 보탠다고…” 입학앞둔 피자배달원 죽음
■ “가미카제 만세” 김윤철 전주시의원 ‘황당한 막말’
■ 무바라크는 없지만…‘이집트판 노태우정권’ 우려
■ 고립 풀리자 또…“제설작업 엄두도 안나”
■ 모바일로 물품 거래 ‘앱’ 나왔다
■ 파리크라상, ‘쥐식빵 자작극’ 10억 손해배상 소송
■ 김조광수 “돈 되는 영화, 안 만들었을 뿐입니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