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세훈 국정원장
당장 경질않고 내달 국정쇄신 인사로 처리할듯
청와대가 국가정보원 직원들의 인도네시아 특사단 숙소 침입과 관련해 원세훈(사진) 국정원장 경질 여부를 놓고 고민에 빠졌다. 원 원장은 최소한 올해 상반기까지는 유임할 것이라는 게 최근까지 청와대의 기류였으나, 이번 사건으로 커다란 변수에 봉착했다.
22일 현재 청와대 내부 방침은 ‘원 원장을 당장 경질하지는 않는다’는 쪽이다. 청와대 핵심 참모들은 이날 오전 회의를 열어 이번 사건 대응 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이렇게 의견을 모은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정보기관의 첩보활동에 대해서는 그 존재 자체를 시인도 부인도 하지 않는 ‘엔시엔디’(NCND)가 국제 관례이고, 정부도 이번 사건에 같은 입장을 갖고 있지 않으냐”며 “원인이 없는데 어떻게 결과(원 원장 경질)를 얘기할 수 있느냐”고 말했다. 원 원장을 경질하는 것은 정부 스스로 이번 사건을 전세계에 대고 공식 인정하는 게 되므로, 논리상 맞지 않는다는 것이다. 다른 핵심 관계자는 “원 원장이 사의를 표명했다거나 당장 교체할 것이라는 얘기는 사실과 다르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번 일에 대해 인도네시아에 설명하고 양해를 구하는 외교적 노력을 강화하고, 언론과 정치권에는 ‘국익을 고려해 논란 확산을 자제해달라’고 협조를 구하는 데 주력한다는 방침이다. 청와대 관계자들은 “인도네시아 쪽도 이 문제를 키우려 하지 않고 있지 않으냐”고 말했다.
그러나 이런 방침은 이날 현재까지의 상황일 뿐, 원 원장 경질은 시간문제라는 얘기들이 청와대 안팎에서 나오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가 부인해도 국정원의 망신 행위를 국민들이 다 알고 있지 않으냐”며 “이대로 그냥 가기는 힘들 것”이라고 말했다. 이미 국정원이 조롱거리가 돼버려 원 원장의 지휘력이 무너진데다, 여야 정치권에서 원장 경질을 포함한 국정원 쇄신을 계속 주장하는 상황을 버티기 어려울 것이라는 얘기다. 이번 일은 4월 재보궐 선거에서도 정부·여당한테 악재다.
따라서 이명박 대통령은 이번 사건의 진상 규명과 외교적 해결에 주력한 뒤, 다음달 ‘국정 쇄신’을 명분으로 농림수산식품부 등 일부 장관과 함께 국정원장 교체 인사를 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 많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카다피, 시위대에 전투기 동원 ‘공중폭격’ 학살
■ F-35 스텔스 전투기 도입을 공군이 반대하는 이유
■ 명가의 부활? 쌍용의 코란도C
■ 박지원 “형님 은퇴” 발언에 여당의원들 고성
■ 뉴질랜드 도심, 주검 널린 생지옥 돌변
■ 재력가들, 주상복합→전원주택 이동중
■ 4대강 공사비 부풀리기…덤프트럭서만 7천억
■ F-35 스텔스 전투기 도입을 공군이 반대하는 이유
■ 명가의 부활? 쌍용의 코란도C
■ 박지원 “형님 은퇴” 발언에 여당의원들 고성
■ 뉴질랜드 도심, 주검 널린 생지옥 돌변
■ 재력가들, 주상복합→전원주택 이동중
■ 4대강 공사비 부풀리기…덤프트럭서만 7천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