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빅3 : 신공항·과학벨트·LH 이전
청와대는 동남권 신공항,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한국토지주택공사(LH·엘에이치) 본사 입지 등 지역 현안 ‘빅3’에 대해 겉으로는 “해당 부처나 위원회가 주도해 올 상반기 중 결론을 낼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지역 갈등과 정치적 파장을 최소화할 방안을 찾느라 고심하고 있다.
청와대는 특히 “세 가지 문제를 종합적인 관점에서 접근할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는 철저하게 경제적이고 객관적으로 접근하되, ‘정무적 요소’를 감안하지 않을 수 없다는 뜻으로도 풀이된다. 정부 관계자는 3일 “전국 지도를 놓고 봤을 때 어느 한쪽으로 쏠리는 결과를 내놔서는 안 된다”며 “정치적 고려를 하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현재 동남권 신공항을 놓고는 경남 밀양과 부산 가덕도가, 과학벨트를 두고는 대전·충남과 대구·경북, 광주·전남, 경기 과천 등이 치열한 유치전을 벌이고 있다. 주택공사와 토지공사가 통합된 엘에이치 본사 유치를 둘러싸고는 경남 진주와 전북 전주가 팽팽하게 맞서고 있다. 3개 현안을 놓고 영남, 호남, 충청 등이 얽히고 설킨 만큼, 이들 사이에 정치적 균형을 맞추는 묘수를 찾아야 한다는 게 청와대의 고민이다.
동남권 신공항과 관련해 청와대와 정부 관계자들은 사견을 전제로 “김해공항을 확장하는 방안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본다”는 얘기들을 하고 있다. 밀양이나 가덕도로 입지만 선정하고, 착공시기는 장기적으로 미루는 방안도 거론된다.
과학벨트는 핵심 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은 이 대통령 공약대로 충청권(세종시)에 두되, 연구비 지원 등 운용에서 대구·경북, 광주·전남, 수도권, 강원 등의 기존 연구시설을 배려하는 방안이 유력하다고 여권 관계자들이 전했다.
엘에이치는 진주에 본사를 두고 일부 사업 부문을 전주에 배치하는 방안과, 진주와 전주에 균등하게 분산하는 방안이 정부 안에서 검토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시기적으로는 관련 위원회 등의 심의절차와 4·27 재보궐 선거라는 정치 일정 등을 고려해 5~6월께 결론이 날 것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들이 전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