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쪽 “5월중 최종 결론”
광역단체장과 만남 준비중
광역단체장과 만남 준비중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 파장은 ‘공약 파기에 대한 대국민 사과’와 ‘박근혜 전 대표의 비판도 이해한다’는 내용의 이명박 대통령 기자회견으로 일단 한 고비를 넘겼다는 게 청와대의 자체 평가다. 하지만 이 대통령 앞에는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입지선정이라는 또 하나의 굵직한 숙제가 놓여있다. 대선 때 “충청권에 과학벨트를 조성하겠다”고 한 약속을 이번엔 지킬 것인지 시험대에 선 것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3일 과학벨트와 관련해 “대선 공약을 또 뒤집는 일은 없을 것”이라며 “정해진 절차를 거쳐 5월 중 최종 결론날 것”이라고 말했다.
과학벨트 입지는 오는 7일 출범하는 과학벨트위원회(위원장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와 산하 분과위인 입지평가위원회가 심의해 결정한다. 과학벨트법에 규정된 입지조건은 △연구·산업기반 구축 및 집적 정도 △정주환경 △국내외 접근 용이성 △부지확보의 용이성 △지반 안전성 및 재해 안정성 등이다. 대전·충청권과 광주·호남권, 포항·대구·경북권, 창원·경남권, 과천·경기권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여권 핵심 관계자는 “부지 등을 고려할 때 과학벨트의 핵심 시설인 중이온가속기와 기초과학연구원 본원을 배치할 곳은 충청권이 가장 적합하다”며 “이 경우 기초과학연구원 분원을 영남·호남 등에 둘 수도 있지만, 충청권이 반발할 정도는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동남권 신공항 무산의 반대급부로 영남권에 과학벨트의 중추 시설을 분산배치하는 일은 없다는 것이다.
충청권 안에서도 대전 대덕, 세종시, 충북 오송·오창, 충남 천안·아산 등 과학벨트 후보지가 여럿이다. 교육과학기술부는 지난해 1월 세종시를 과학벨트 최적지로 밝혔으나, 이는 세종시에 행정부처를 이전하지 않는 경우를 전제한 것이어서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고 정부 관계자가 밝혔다.
한편, 이 대통령은 조만간 광역단체장들과 만나 동남권 신공항 백지화에 이해를 구하고 향후 국책사업 추진 방향을 설명할 예정이라고 청와대 관계자들이 전했다.
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