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 “에너지 수입 한국선 불가피”
메르켈 총리는 ‘안전’에 무게
메르켈 총리는 ‘안전’에 무게
독일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은 독일의 통일 경험을 적극 공유할 뜻을 보였지만, 원자력발전소 정책에서는 ‘국가별 특성’을 강조하며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이견을 보였다.
이 대통령은 9일(현지시각) 베를린에서 메르켈 총리와의 정상회담 뒤 기자회견에서 ‘일본 대지진 이후 한국에서 원전 정책에 변화가 있느냐’는 독일 기자의 질문에, “원전 문제는 독일에서 말하는 게 조심스럽다”는 말로 답변을 시작했다. 독일은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태 이후 17기 원전 가운데 1980년 이전에 건설된 7기의 가동을 즉각 중단하고, 궁극적으로 17기 원전을 모두 폐쇄하기로 한 반면, 한국 정부는 당분간 원전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회견에서 “독일의 원전 정책이 한국 원전 정책과 다르다”며 “원자력 산업은 국가별 입장이 다를 수밖에 없다. 한국은 100% 에너지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신재생 에너지를 높이기 위한 노력을 세계가 함께 해야 하긴 하지만 현재 석유를 대체할 만한 에너지원이 없는 게 사실”이라며 “원전 산업 발전은 한국에서 불가피하고, 세계 많은 나라가 그렇게 생각하지 않나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한국은 원자력발전소를 21기 가동중이고, 7기를 건설하고 있다”며 “일본과 우리는 지질적으로 여건이 다르고 운영 실태에서도 세계에서 가장 사고 없는 발전소”라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후쿠시마 원전은 대한민국 원전 안전도를 보강하는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반면 메르켈 총리는 회견에서 원전 관련 질문에 “‘안전’이 매우 중요한 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 엄격한 안전 기준 심사를 하는 것으로 안다. 일본 원전 사태에 따른 교훈을 실행할 거라고 한다”고 말했다. 신중한 태도였지만 에너지의 ‘안전’에 무게를 둔 발언이었다.
이 대통령은 10일 발행된 독일 일간지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FAZ) 인터뷰에서도 원전 관련 질문에 “원전은 ‘클린 에너지’의 한 형태”라며 “태양광·풍력 등 재생에너지는 경제성이 확보되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한국은 얼마간은 원전을 지속적으로 운영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후쿠시마 사고는 지진과 쓰나미의 결과이고, 그런 자연재해가 모든 국가에 나타나는 것은 아니다”라며 “원전의 안전성을 개선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베를린/황준범 기자 jaybe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